한국 시민단체, ‘한반도 평화 염원’ 서명 유엔에 전달
2023.09.29
앵커: 한국전쟁 종전선언을 지지하는 한국의 시민단체가 미국을 방문해 한반도 평화 메시지를 전할 예정입니다. 김소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 내 한국전쟁 종전을 주장해 온 시민단체 모임 ‘정전 70년 한반도 평화행동’이 뉴욕 유엔 본부에서 열리고 있는 제78차 유엔 총회 기간에 맞춰 뉴욕과 워싱턴 DC를 방문합니다.
대표단은 그 동안 자신들이 국제적으로 벌여온 시민평화운동의 결과를 유엔과 한국전쟁 관련 국가의 유엔 대표부, 미 정부기관에 전달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첫 일정으로 대표단은 30일 뉴욕 시내에서 ‘정전 70년 한반도 평화대행진’을 벌입니다.
뉴욕 함마슐드 광장에서부터 랄프 번치 공원까지 이어지는 이 행진에는 대표단을 비롯해 한반도 평화를 위해 활동해 온 미주 한인 단체, 종교계, 미 평화단체, 국제 평화단체들이 연대해 한국전쟁 종전 구호를 외치고, 참여자들의 발언, 어린이 편지 낭독, 풍물 공연, 함께 부르는 노래, 한반도 깃발에 평화의 메시지 쓰기 등의 행사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이어 10월 2일 대표단은 유엔 사무총장과 각국 유엔 대표부와 면담을 갖고, 20만명의 한반도 평화 지지 서명을 전달하는 한편 자신들이 벌이는 평화운동에 대해 설명할 계획입니다.
10월 8일에는 워싱턴 DC로 옮겨 서명 전달에 이어 백악관 앞에서 다시 한 번 전쟁 반대 와 평화의 목소리를 높이는 집회가 열립니다.
대표단은 10월 9~11일 남은 일정 동안 미 의회와 국무부 등 미 정부 부처 관계자들을 만나 한반도 위기의 심각성과 현 정세에 대한 시민사회의 의견을 상세하게 알리고, 무력 충돌 예방을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을 촉구하며, 평화 우선 접근법(Peace First Approach)의 중요성을 강조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미 의회 내에서도 종전선언을 통한 북한과 신뢰구축을 통해 한반도 평화를 이루자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지난 3월 브래드 셔먼(민주∙캘리포니아) 하원의원이 한국전쟁 종전선언과 평화협정 체결, 미북 연락사무소 설치,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미국인의 북한 여행 금지 규정 재검토 등의 조치를 통해 ‘한반도 평화체제’를 구축하도록 하는 내용을 담은 한반도 평화법안을 발의한 것인데요.
반면 미국 의회 내 한국전쟁 종전선언에 대한 반대 목소리도 여전합니다.
영 김(공화∙캘리포니아) 하원의원은 북한이 협상에 전혀 관심이 없고, 비핵화 조치를 취하지 않는 상황에서 종전선언은 오히려 한반도 및 세계안보의 위협이라며, 지지할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현재 이 법안은 발의 후 진전이 없는 상황입니다.
에디터 박정우, 웹팀 이경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