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업 포기하는 탈북 청소년 많다

한국으로 오는 탈북 청소년들이 매년 크게 증가하고 있지만, 한국 사회에 적응하기란 쉽지 않습니다. 이 때문에 학업을 중도에 포기하는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서울-노재완 xallsl@rfa.org
2009.07.21
이에 대한 개선안으로 한국의 국민권익위원회는 탈북 청소년을 위한 특성화된 학교의 필요성을 제기했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최근 한국 내 탈북 청소년들이 중도에 학업을 포기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상급학교로 갈수록 심해지고 있습니다.

교육과학기술부가 20일 국회에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를 보면 올해 4월 현재 전국의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탈북 청소년은 1천143명으로 조사됐습니다.

이 가운데 올해 탈북 청소년들의 학교 중도탈락률은 중학교 12.9%, 고등학교 28.1%로 나타났습니다. 남한 청소년의 중도 탈락률이 중학교, 0.8%, 고등학교 1.8%와 비교하면 크게 높은 편입니다.

탈북 청소년들이 중도에 학업을 포기하는 가장 큰 이유는 탈북과정에서 교육을 받지 못해 학습 공백이 생겼기 때문입니다.

다음으로 남북한 교육과정의 차이를 들 수 있습니다. 이를 방치할 경우 자칫 사회 문제로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에 대한 방안으로 한국의 국민권익위원회는 21일 탈북 청소년을 위한 특성화된 학교의 필요성을 제기했습니다.

국민권익위원회 황인호 전문위원입니다.

황인호: 탈북청소년의 40%가 서울지역에 거주하고 있습니다. 서울지역의 탈북 청소년을 위한 학력인정 특성화 학교를 설립해 이들에게 교육기회를 제공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현재 대부분의 탈북 청소년의 교육시설은 정식으로 인가를 받은 학교가 아니기 때문에 정부에서 재정 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또한 탈북 청소년을 교육하는 대안 학교의 교육과정을 마치더라도 학력 인정을 받지 못해 다시 학력 취득시험인 검정고시를 치러야 하는 어려움도 있습니다.

많은 전문가들은 탈북 청소년을 교육하는 대안 학교가 정부의 재정적 지원이 있을 경우 특성화 학교의 역할을 충분히 담당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

북한인권시민연합 이영환 팀장입니다.

이영환: 민간 차원에서 운영하는 대안 학교들이 6~7개가 있는데요. 이 학교들을 좀 더 보완을 하고, 정부에서도 어느 정도 지원을 해준다면 정부가 굳이 과다한 예산을 투입하지 않더라도 특성화 학교로 성장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와 함께 탈북 청소년들이 남한 학생들이 사용하는 일반 교재로 공부하는 데도 한계가 있습니다. 남북한 용어의 차이로 이해력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정부가 탈북 청소년을 위한 학교 설립에도 집중해야겠지만, 탈북 청소년의 눈높이에 맞는 교재도 함께 개발해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댓글 달기

아래 양식으로 댓글을 작성해 주십시오. Comments are moder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