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조류독감 사태를 해결하기 위한 국제사회의 지원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습니다. 미국 정부는 세계보건기구(WHO)의 요청을 받아들여 조류독감 진단 장비를 북한에 지원했다고 5일 밝혔습니다. 이와 관련해 세계보건기구는 조류독감 치료제와 그 밖의 실험 장비를 북한에 보낼 준비를 하고 있다고 이 기구의 한 관계자가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리처드 바우처(Richard Boucher) 미 국무부 대변인은 5일 발표한 성명에서 세계보건기구의 요청에 따라 북한에서 발생한 조류독감의 혈청형을 파악하고 인간 감염이 발생했는지 확인하는데 필요한 진단 장비를 세계보건기구에 제공했다고 밝혔습니다. 바우처 대변인은 미국정부가 이 같은 장비 제공을 승인한 것은 인도적인 차원에서 북한 주민들을 돕기 위해서였다고 밝혔습니다.
제네바에 있는 세계보건기구 관계자도 6일 미국 정부의 발표 내용을 자유아시아방송과의 전화통화에서 확인했습니다. 익명을 요구한 이 관계자는 세계보건기구는 미국의 보건당국을 비롯한 다른 여러 나라의 협조기관들로부터 지원을 받아 평양사무소를 통해 이미 북한 보건성 측에 조류독감 진단 장비를 전달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관계자는 또 이르면 다음 주 중에는 세계보건기구 직원 두 명이 북한을 직접 방문해서 북한당국의 조류독감 관련 조사활동을 지원할 예정이라고 전했습니다.
이 관계자는 현재 유엔 산하기구들 가운데 세계보건기구 이외에도 유엔식량농업기구(FAO) 가 북한의 조류독감 문제를 다루고 있다면서, 유엔 식량농업기구는 가금류의 감염문제를 다루고 있는 반면 세계보건기구는 인체 감염 문제를 다루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관계자는 또 세계보건기구는 북한에 조류독감 치료제와 실험장비도 보낼 예정이라며, 이미 북한 보건성 측으로부터 필요한 장비와 물품 목록을 받았다고 전했습니다.
한편 남한 정부도 6일 북한 조류독감에 관한 관계부처 작업반 회의를 처음 열고 북한에 대한 지원대책을 논의했다고 남한 언론은 전했습니다. 이 자리에서 남한 정부는 북한의 지원요청이 있을 경우에 대비해 조류독감 진단기술과 검사 장비, 예방과 진단 그리고 소독에 필요한 약품 등을 지원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지속적으로 검토하기로 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남한 정부는 지난달 30일 북한에서 발생한 조류 독감에 대처하기 위해 농림부와 환경부 질병관리본부 그리고 통일부로 이뤄진 실무작업반을 구성했습니다. 남한 정부는 북한이 조류독감에 관한 구체적인 정보를 남측에 제공하고 지원을 요청하면 곧바로 지원에 나설 방침입니다. 남한의 농림부 관계자는 이미 지난달 29일 북측에 조류독감 발생 상황과 방역 조치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해달라고 요청했으나, 아직까지 북측으로부터 대답을 듣지 못한 상태라고 남한 언론에 전했습니다.
한편, 남한 정부는 통일부와 질병관리본부 식양청, 그리고 검역소 관계자들로 구성된 정부 합동조사단을 지난달 말 금강산 관광지에 보내 온정각과 해금강 호텔 등에서 일하는 남측 식품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현지 실태를 점검했습니다. 조사단은 점검 결과 식재료 보관시설과 종업원 위생상태는 모두 양호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목란관 등 북측이 운영하는 식당들에 대해서는 북측의 반대로 육안 검사와 관계자 면담 등에 그쳤다고 조사단은 전했습니다. 남한 정부는 또 지난달 말부터 도라산역과 고성 남북출입사무소를 통과한 차량과 사람에 대해 검역을 실시하고, 4일부터는 파주와 철원 그리고 고성 일대의 민통선 지역에서 조류 독감 감염조사에 착수했다고 밝혔습니다.
김연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