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북에 자금세탁과 마약 밀매, 위폐 문제 등 거론 방침

북일 정부 간 협의를 앞두고 일본이 대북 압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일본은 북일 정부 간 협의가 열리면 북한의 납치문제 외에도 위폐, 마약밀매문제 등도 거론한다는 방침입니다. 도쿄의 채명석 기자와 함께 자세한 소식을 알아보겠습니다.

채 기자, 일본 측은 4일부터 열리는 북일 정부 간 협의를 유리하게 이끌기 위해 어떤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까?

채명석 기자: 일본 측은 납치문제, 안전보장 문제, 국교정상화문제 등 세 분야로 나뉘어 열리는 대북 정부 간 협의를 앞두고 대북 압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일본 외무성 간부도 4일부터 열리는 정부 간 협의 때 납치문제와 안전보장문제, 국교정상화문제 뿐 아니라 자금세탁과 마약밀매, 위폐 문제 등의 범죄 행위도 함께 거론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 문제와 관련해 집권 자민당의 대북 경제제재 시뮬레이션 팀은 1일 대북 송금을 감시하기 위한 ‘해외 송금 감시팀’을 발족시킨 바 있습니다.

일본은 납치문제 해결을 위해 북한에 대해 어떤 압력을 가하고 있습니까?

채: 일본 측이 북한 측을 압박할 재료로 활용할 것으로 보이는 두 개의 보도가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하나는 북송간첩 신광수가 납치 생환자 지무라 야스시 부부에게 조선말을 가르쳤다는 사실이 새롭게 밝혀졌습니다. 지무라 씨는 얼마 전 일본 경찰에 자신의 납치사건의 실행범이 신광수였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데, 신광수가 지무라 씨 부부 납치에서 교육에까지 관여했었다는 사실이 드러난 셈입니다.

한편 NHK는 2일 신광수를 직접 조사한 남한 수사관과의 인터뷰를 방영하고 신광수가 김정일 위원장의 직접 지시를 받아 납치 사건을 자행했었음을 남한 수사관에게 자백했었다고 보도했습니다. 이 같은 일련의 보도와 압력 조치는 4일부터 열리는 대북 정부 간 협의를 유리하게 이끌기 위한 일본 측의 전략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과거청산과 국교정상화 교섭을 중시하고 있는 북한에게 일본의 압력이 먹혀들지는 미지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