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인 납치문제에 최대 역점을 두어온 일본은 이번 회담에서 설령 북한과 핵동결 관련 합의가 이뤄질 경우라도 일본인 납치문제에 진전이 없으면 대북 에너지 지원 등 상응조치에 참여할 수 없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8일 시작된 6자회담에서는 북한의 영변 원자로 동결과 국제사찰 수용을 조건으로 6자회담 참가국들은 북한에 대한 에너지 지원 등에 나서는 합의가 이뤄질 것이란 전망이 우세합니다. 하지만 일본은 연일 6자회담에서 북한에 의한 일본인 납치 문제도 다뤄져야 한다는 입장을 줄곧 밝혀왔습니다.
특히 일본의 아베 신조 총리는 8일 납치문제에 진전이 없으면 일본으로서는 북한 핵문제와 관련해 6자회담에서 일정한 성과가 나와도 대북지원에 참여할 수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습니다. 또 납치문제에 진전 없이는 일본이 독자적으로 취한 대북제재 해제도 없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러한 일본측 입장이 6자회담의 걸림돌로 떠오를 것을 의식한 듯, 남한의 천영우 6자회담 수석대표는 6자회담 참가국들 모두가 북한이 비핵화 의지를 보일 경우 합리적인 대북 상응조치에 인색하지 말아야한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앞서 미국의 힐 차관보는 이번 6자회담의 성공 여부는 6자 모두에게 달려있다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이처럼 핵문제 외에 납치문제를 들고 나온 일본 측 입장 때문에 미국과 일본 사이 얼마간의 긴장관계가 빚어질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하지만 지난주 북한을 방문한 후 6자회담에 참가하는 북한의 입장을 먼저 알린 미국의 전 국무부 관리 조엘 위트 씨는 7일 자유아시아방송과의 회견에서 일본이 납치문제와 대북지원 문제를 연계하는 입장을 계속 지속하기는 힘들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Joel Wit: 일본에도 이번 북한의 핵동결 관련 합의 가능성을 못마땅하게 여기는 이들이 많습니다. 북한의 미사일 발사와 핵실험 이후 일본은 북한에 대해 다소 극단적인 입장을 취해왔습니다. 그런데 미국이 이제 북한에 대한 입장을 조금 완화하려는 모습을 보이자 일본은 혼자만 고립될 것을 우려하게 된 것입니다. 일본의 아베 총리는 일본인 납치 문제 해결 전에 일본은 북한에 대해 아무것도 할 수 없다고 말했지만 앞으로 그러한 입장을 계속 유지하기는 매우 힘들 것으로 봅니다.
한편, 일본의 사사에 겐이치로 6자회담 수석대표는 8일 6자회담 기조연설에서 북한이 원자로의 가동을 중단하고 국제사찰단의 감시를 수용하는 조치를 취하라고 촉구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러한 북한의 핵폐기 초기 이행조치는 상당히 짧은 시간 안에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앞서 미국의 크리스토퍼 힐 차관보는 3달 안에 북한의 초기 이행조치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한 바 있습니다.
워싱턴-양성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