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북한의 가짜 달러화 유통과 대량살상무기(WMD) 거래등의 불법 활동을 조사하고 있는 중에도 북한은 달러화 위조를 위한 인쇄용품 구매 시도를 계속했던 것으로 25일 드러났습니다.
이 날 미국 재무부는 ‘해외 달러화 위조와 사용에 관한 보고서’에서 국제형사기구인 인터폴은 작년 3월부터 계속되고 있는 북한의 달러화 위조활동에 대비하기 위해 올 해 6월 ‘오렌지 경보’를 발령했다고 밝혔습니다. ‘오렌지 경보‘는 5단계의 경계태세 중 가장 심각한 ’적색 경보’ 바로 아래 단계입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의 재무부에 속해있는 비밀수사국(SS)은 지난 1989년 100달러와 50달러의 정교한 가짜달러화인 ‘수퍼노트’를 처음 적발한 이후 본격적으로 이 수퍼노트의 유통과 생산에 대한 조사를 실시해 북한이 수퍼노트와 관련이 있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또한 이 보고서는 수퍼노트가 북한 정부 차원에서 생산되고 유통된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에 대해 비밀수사국의 마이클 메리트 부국장보는 지난 4월에 열린 북한의 불법행위에 관한 청문회에서 북한이 지난 1990년대 유럽과 아시아에서 상당수의 북한 외교관들이 대량의 위조달러를 갖고 있던 혐의로 체포된 사실을 지적했었습니다.
25일 보고서는 또 기밀수사국이 각 정보기관들과 긴밀한 협조망을 만들어 북한의 수퍼노트 유통을 분석하고 더 확대된 불법 활동을 감시하고 있으며, 지난 16년간의 조사를 통해 모두 5천만 달러 상당의 가짜 달러 지폐를 회수했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미국의 재무부는 지난 9월 마카오에 위치한 중국계 은행인 방코델타아시아 은행(BDA)이 가짜 미국달러화를 유통시키고 있으며 마약 밀매 등 불법 국제거래 대금을 세탁하는 북한의 자금 조달 창구 역할을 하고 있다는 이유로 이 은행을 돈세탁 우려대상 은행으로 지정하고 미국 금융기관과의 거래를 중단시키는 조치를 취한 바 있습니다. 그 결과 방코델타아시아 은행은 북한과의 거래를 중단했고 마카오 정부는 돈 세탁 방지법을 제정했습니다.
워싱턴-김나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