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인권, 생화학무기, 불법행위 문제 해결 후 수교 논의 가능” - 미 힐 차관보
2005.10.10
미국은 인권과 대량살상무기 문제 등이 해결돼야 북한과 관계정상화 논의가 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이 같은 입장은 6자회담 미국 측 수석대표인 크리스토퍼 힐 미 국무부 차관보가 4차 6자회담에서 공동성명이 채택된 직후 행한 폐막연설에서 밝힌 것입니다.
힐 차관보는 당시 연설에서 최근 4차 6자회담에서 공동성명이 채결된 직후 공동성명 내용에 대한 미국 측 입장을 밝히면서 앞으로 차기 6자회담에 임할 미국의 자세를 분명히 했습니다.
먼저 미국은 북한과의 관계정상화를 원하지만 그에 앞서 북한의 핵문제 뿐 아니라 인권문제, 생화학무기 문제, 미사일문제, 또 마약밀매와 위조지폐 문제 등 북한의 불법 행위문제 들이 먼저 해결되어야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이 만약 불법적인 핵 확산 활동을 벌일 경우 미국과 우방국들을 지키기 위해 필요한 구체적인 조치를 취하겠다고 경고했습니다.
이어 미국이 북한의 주권을 존중하고 평화공존을 원한다고 공동성명에 합의한 것은 주민들의 인권이 유린당하고 있는 등 문제가 있는 북한의 체제를 그대로 인정한다는 의미는 아니라고 밝혔습니다.
힐 차관보는 또 북한이 폐기할 핵 프로그램의 대상을 플루토늄 뿐 아니라 농축 우라늄 핵개발 프로그램도 포함된다고 밝히고 이를 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도록 제거해야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리고 그렇게 중단된 핵 프로그램이 미래에 결코 다시 재개돼서는 안 된다고 덧붙였습니다.
미 국무부는 지난달 19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힐 차관보의 4차 6자회담 폐막회의 연설문 내용을 국무부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했습니다.
양성원기자
관련 정보
- 미, 북핵 폐기 검증조치 추진
- 부시, "미국, 우방국들과 협력해 국제테러조직망 분쇄할 것“
- IAEA, 북에 핵안전조치협정을 이행촉구
- 중, IAEA 북핵 결의안에 ‘경수로’명기 희망
- “북한 핵해체 전 경수로 논의없다” - 힐 차관보 거듭 천명
- 남 외교장관 “남, 북핵 폐기 방안 마련 착수”
- 황장엽 “6자회담으로 핵 문제 해결 어려워”
- 랜토스 의원 “ 북핵 협상 어려운 문제 많아”
- 미 국무부, WMD 단속과 6자회담은 별개
- 미, 북한 등 3개국 회사의 미국내 자산 동결
- 미국, 북한과 거래기업 미국 내 자산동결
- 북한은 전통적, 비정규적, 재난적 위협-미 국방전략
- 북핵, 안전보장 최우선 고려해야-한스 블릭스
- 남한은 미 주도하는 PSI에 균형 잡힌 시각 가져야
- 뉴욕타임스, “일본 근해 PSI 훈련, 미국의 대북 강경정책 예고”
- PSI 훈련 일본 도쿄만서 26일 열려
- 남한.중국 PSI 훈련에 불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