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 미국 중서부는 이글거리는 태양의 강렬한 열기와 사방에서 들리는 매미 소리로 여름의 한 가운데 있음을 실감케 합니다. 오늘은 열정을 다하여 일하는 탈북민이 있어서 청취자 여러분께 소개해 드리려 합니다.
이 탈북민은 지난 2003년 탈북해 한국에서 10여년을 살다가 2016년 말에 미국에 온 유니스씨 입니다. 현재 유니스씨는 미국에서 무역회사인 포워딩 업체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유니스 : 미국에 있는 제품들을 한국에 판매하는 온라인 직구사업을 같이 하고 있는데요. 생활용품, 식품, 가전제품, 가전제품도 큰것말고 작은 것 이런 쪽으로 하고 있고요.
원·달러 환율 상승이라는 악조건에도 불구하고 해외직접구매에 대한 한국내 소비자의 관심은 꾸준히 성장하고 있습니다. 한국 관세청 통계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해외직구 규모는 47억 달러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기도 하였습니다.
한국에서도 롯데물류라는 대기업에서 전산담당으로 오랫동안 근무 했던 유니스씨는 한국에서 대학과 대학원까지 나온 재원입니다.
유니스씨는 미국에서 한국으로의 상품직접 구매 시장규모가 전년 대비 약 9%, 늘었다며 매우 성장세가 빠른 유망한 사업이라 동종업체간 치열한 경쟁이 이어질 것이라는 말도 덧붙입니다.
미국 무역회사에서 7년째 일하고 있는 유니스씨는 이처럼 한국에서 해외 상품을 개인이 직접 구매하는소비자가 늘고 있는 배경으로 전자상거래에 익숙한 젊은층을 필두로 한국에서 판매되지 않아 희소성 있는 제품들을 원하는 수요가 늘었기 때문이라고 말했습니다.
현재 유니스씨는 일상생활에 필요한 전자제품, 스마트폰, 의류, 시계는 물론 미국과 캐나다에서 판매 되는 건강기능식품, 영양제 등 거의 모든 부분을 망라하고 있습니다.
초창기 미국생활에는 어려움도 많았지만 아는 지인의 소개로 현재 일을 하게 됐다고 유니스씨는 말합니다.
유니스 : 처음에는 제가 식당에서 아르바이트를 조금하다가 제가 중국어를 할 수 있어서 미국에 먼저 와 있던 친구가 다니고 있는 회사에서 직원을 뽑는다고 하고 제가 한국에서 했던 일이 물류쪽 일을 많이 해서요 이 회사에 들어오게 됐어요.
유니스씨는 해외에서 주문한 화물을 화주로부터 받아 원하는 지점까지 운송해주는 택배, 운송, 통관 등의 업무를 종합적으로 처리하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운송은 운수회사, 통관은 관세사가 하지만, 운송에 관련된 제반 업무들을 화주를 대신해 처리하는 것이죠.
현재 유니스씨가 다니는 회사는 한국인이 운영하고 남한출신자들이 대다수인데 모두 가족처럼 격의없이 지내고 있다고 했습니다.
유니스 : 저는 한국에서도 그렇고 여기서도 그렇고 탈북민의 시선으로 바라보는 사람들을 별로 없었던 것 같아요. 식당일을 할때는 좀 그랬는데 제 선입견일 수도 있지만요. 회사에 들어와 보니까 회사는 그런쪽은 전혀 없었어요.
유니스씨는 미국에 처음 와서는 여러가지 다른 환경으로 힘들기도 했지만 미국에 와서 주말에 골프도 치고 자주 먹지 못했던 소고기 등 각종 고기류를 먹기도 하여 미국에서 여유로움과 풍족함을 느끼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시카고에서 RFA자유아시아 방송 김성한 입니다.
에디터 이진서, 웹팀 이경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