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물가] 미중 디커플링과 북한의 임가공 무역

0:00 / 0:00

청취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최근 북한 물가와 해외 시세를 알아보는 ‘RFA 주간 프로그램-북한 물가’ 시간에 정영입니다. 오늘은 미중 디커플링(공급망 분리)와 북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전해드립니다.

현재 미국과 중국간 갈등 속에 디커플링, 즉 공급망 분리 현상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미국은 세계에서 경제규모가 가장 큽니다. 세계은행(world bank) 자료에 따르면 2021년 미국의 국내총생산(GDP)은 23조3천억 달러로 세계 1위를 달리고 있습니다. 미국 인구는 3억 3천4백만명인 세계 3위으로, 1인당 국민총소득은 7만 달러를 넘었습니다.

미국을 가리켜 ‘세계 최대 소비의 시장’이라고 부르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왜냐면 대량으로 생산하면서 동시에 대량으로 소비가 가능한 나라이기 때문입니다. 때문에 전 세계 국가들이 미국 시장을 뚫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미국 시장에 물건을 팔아 급속히 성장한 국가가 중국입니다. 중국의 국내총생산은2021년 기준으로 17조 7천억 달러로 세계 2위입니다. 하지만, 1인당 소득은 미국의 7분의 1에 미칩니다. 중국 공식 인구가 14억으로 미국보다 많기 때문입니다.

중국을 가리켜 ‘세계공장’이라고 부릅니다. 중국은 물건을 많이 만들어 싸게 미국에 팔았습니다. 중국은 의류나 가발 등을 미국에 수출했는데, 개중에는 북한 주민들이 중국기업에 임가공으로 납품한 것도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2009년 대미수출국가 1위에 오른 중국은 10년 지속 성장해, 2018년에는 미국의 국내총생산 60%까지 바짝 추격해왔습니다. 이 때문에 중국경제가 조만간 미국을 앞지를 것이라는 분석도 나왔습니다. 한편으로는 이때부터 미국의 견제가 시작되었습니다. 트럼프 미국 행정부는 중국의 불공정 무역을 문제 삼아 3천700억 달러에 달하는 중국산 제품에 대해 25%의 고율관세를 적용했고, 바이든 행정부는 한 수 더 떠 중국에 반도체와 인공지능 등 첨단기술 부품을 수출하지 못하도록 강력히 제재하고 있습니다. 외신은 미국의 이러한 대중국 견제에 대해 패권 도전에 나선 중국을 자국이 주도하는 세계 공급망에서 퇴출 시켜 사실상 왕따, 즉 고립시키려는 의도라고 전했습니다.

한국 무역협회 따르면 중국의 대미수출은 10개월 연속 감소했습니다. 미국의 대중 디커플링 전략에 따라 서방의 대기업들이 서둘러 중국을 떠나 인도나 베트남 등으로 생산기지를 옮기고 있습니다. 중국경제가 어두운 전망을 보이자, 외국 투자자들은 앞다퉈 중국 증시에서 투자금을 빼내고 있습니다. 더욱이 중국 공산당의 반기업 정책으로 불확실성이 커지자, 외국 투자자들은 바이두와 알리바바와 같은 미국에 상장된 중국 기업들에 대한 투자도 중단하고 있습니다.

그러면 미국의 대중국 디커플링이 심화되면 북한에는 어떤 영향이 미칠까요?

미국과 중국간 공급망이 분리되면 북한에도 타격은 적지 않을 것으로 북한 관찰자들은 보고 있습니다.

북한은 중국과의 임가공 무역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중국 무역에 관여하고 있는 북한 무역 관계자는 코로나 이전 기준으로 “평양과 지방의 무역기관들이 중국기업과 의류 임가공 사업에 대거 참여하고 있다”며, “북한 중앙기관 외화벌이 조직들이 유엔의 대북제재로 섬유제품 수출길이 막히자 중국업체로부터 원단을 공급 받아 북조선 피복공장에서 위탁가공해 중국에 다시 수출하는 방법으로 섬유제품을 수출하고 있다”고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힌 바 있습니다.

북한 노동당 39호실 산하 <은하지도국> <봉화지도국> <대성지도국> <모란지도국> <경흥지도국> <락원지도국> 등 중앙기관들에 소속된 임가공 재봉(봉제업)에 종사하는 인력만 100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집니다. 여기서 생산된 각종 속내의와 뜨개옷 등 의류는 ‘메이드인 차이나’로 원산지를 바꿔 달고 미국과 한국 등으로 수출된다는 것입니다.

북한이 중국업체로부터 임가공 주문을 받아 제조한 인공가발도 미국으로 수출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남한의 조선일보는 중국이 북한에서 생산된 가발을 싸게 들여와 미국 등지에 팔면서 전세계 가발시장 가격이 들썩이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실례로 미국 온라인 쇼핑몰 ‘아마존’에서 판매하는 76cm 인모(人毛) 가발 가격은 180달러로 지난해보다 30% 내려갔다고 이 매체는 전했습니다. 미중간 디커플링 사태가 격화되면 중국의 대미수출이 감소하게 되고, 그러게 되면 북한의 임가공 무역도 타격을 받을 전망입니다.

다음은 국제 환율 및 주요 물가 시세입니다.

10월26일 미국 외환시장( https://www.x-rates.com)에서 달러와 중국 위안화의 환율은 1대 7.28입니다. 달러대 유로화는 1대 0.94, 달러대 일본 엔화는 1대150.3엔입니다. 현재 달러대 한국 돈의 가치는 1대1,353원입니다. 다음은 금 시세입니다.

10월 26일 미국 골드프라이스에 따르면 순금 1트로이 온스(troy ounce)당 가격은, 즉 31.1그램은 1,985달러입니다.

한편 10월 26일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12월 선물 서부텍사스산 원유(WTI) 가격은 1배럴(158.9리터)당 83.5달러, 중동산 두바이유는 90.2달러, 런던 ICE 선물거래소에서 북해산 브렌트유는 1배럴당 87.3달러입니다.

지금까지 워싱턴에서 RFA자유아시아방송 정영기자입니다.

에디터 이진서, 웹팀이경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