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는 서울] 붉은 손톱달(1)

서울-김인선 kimi@rfa.org
2024.11.05
[여기는 서울] 붉은 손톱달(1) 제주도 사투리부터 북한 사투리까지 한반도 전역의 특색을 갖춘 각 지방의 사투리가 ‘말모이 축제’ 대기줄.
Photo: RFA

안녕하세요. ‘여기는 서울’, 김인선입니다.

 

가을이 되면 다채로운 축제가 남한 전역에서 펼쳐집니다특산물제철 과일 등 다양한 대상들이 축제의 주제가 되는데요우리 말한글 역시 축제의 주제가 됐습니다.

 

제주도 사투리부터 북한 사투리까지 한반도 전역의 특색을 갖춘 각 지방의 사투리가 말모이 축제라는 이름으로 소개됩니다올해 벌써 6회째를 맞고 있는 축제는 9월 24일부터 11월까지 열리는데요축제에선 사투리로 엮은 연극도 상연됩니다.

말모이 연극제 포스터.jpg
제주도 사투리부터 북한 사투리까지 한반도 전역의 특색을 갖춘 각 지방의 사투리가 ‘말모이 축제’ 포스터.

 

북한 사투리로 엮은 연극도 무대에 올랐는데요제목이 붉은 손톱달입니다오늘 <여기는 서울>에서 소개합니다.

 

[현장음] 여기 서 있으면 되는 겐가? / 옳다여기에 있어서 노래 부르면 된다. / 재까닥 재까닥 움직이라는데 어찌 그리 매사 느려직행임까? / 저 여자 앙까요? / 내는 모른다니 직행이니? / 글쎄 그걸 잘 모르갔는디 중국에서 한 번 돌아쳤시요. / 니 말씨가 앞쪽 사람이구나아주 먼 길을 왔구나.. 

 

이곳은 서울 대학로에 위치한 한 소극장연극 붉은 손톱달’ 공연이 한창입니다연극은 남한에서 성공한 탈북민 선화가 주인공입니다변리사로 성공한 선화가 탈북 10년 만에 전문직 탈북 여성으로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하며 겪는 얘기를 담고 있습니다.

 

변리사는 아마 북한에는 없는 직업일 듯한데요상품 등에 대한 특허실용신안디자인 또 상표권 등의 업무를 대행해 주는 일종의 법률 전문가입니다.

 

붉은 손톱달’, 이 작품을 쓴 사람도 탈북민 출신 김봄희 씨입니다봄희 씨는 연출가이자 배우로도 활동하고 있습니다.

 

[인터뷰-김봄희] 이 연극은 FM 3.08이라는 제목으로 초안이 작성됐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선화가 라디오에 출연하는 게 중요한 게 아니라 선화의 삶을 좀 더 조망해야 된다는 생각으로 작품 제목이 변경되기 시작했어요그러면서 붉은 손톱달로 갔는데 사실은 달은 그 자리에 그 모습 그대로 있지만 저희가 보는 대로 그냥 갖다 이름 붙이는 거잖아요어쩌면 북한이탈주민들 또는 다수의 집단에서 어떤 소수의 사람들을 바라볼 때 보는 것을 그대로 믿는 게 아니라 자기네가 믿는 걸 그냥 보는 것은 아닌가라는 마음으로 붉은 손톱달이라고 제목 지었습니다.

 

<관련 기사>

[여기는 서울] 10년의 마음, 10년의 손길 (1) 

[여기는 서울] 10년의 마음, 10년의 손길 (2)

 

작가의 의도는 연극 초반부터 나타납니다주인공 김선화는 어느 날 한 방송국 직원의 연락을 받습니다선화는 자신의 일과 관련된 사안으로 연락한 것으로 알고 만났지만 선화를 만난 사람은 라디오 방송 연출가그는 선화에게 북한식 말투가 전혀 남아 있지 않다며 놀랍니다.

 

[현장음] 선화 씨? / (선화, PD안녕하세요. / 안녕하세요일찍 오셨나 봐요. / (선화일찍 오는 건 기본이죠급하시다고 해서 달려왔습니다무슨 건인가요? / 근데 북한 사투리를 하나도 안 쓰시네요제가 만난 분들은 북한 사투리가 아직 좀 남아 있던데요. / (선화하나원 나온 지 오래됐잖아요. 10년이나 지났습니다바뀌어야죠. / 고향 말씀을 안 하시면 진짜 전혀 모르겠어요.

 

선화는 업무 이야기를 시작하려 하지만 방송국 직원은 선화와의 만남에 다른 이유가 있다고 고백하는데요.

 

[현장음] 사실 제가 특허 의뢰하러 나온 건 아니고 한번 뵙고 싶었습니다. / (선화? / 기분 나쁘셨다면 정말 죄송해요. / (선화아니요괜찮습니다어쩐지 제 출신을 너무 쉽게 언급하시더라고요많이 궁금하셨나 봐요살펴 가세요. / 같이 일을 해보고 싶어서 만나자고 했어요. / (선화그런 사람들 많습니다신기한 연구 대상이나 이야깃거리로 생각하는 사람들… 괜찮습니다. / 꼭 그런 것만은 아닐 거예요함께 더 좋은 일을 해보려고 그런 걸 수도 있잖아요. / (선화좋은 일이라… 신은 우리에게 참 위험하고도 아름다운 무기를 줬네요. ‘이요아무튼 하루 이틀 아닙니다이제 눈빛만 봐도 알죠근데 우리 피디님은 좀 많이 다른 걸 원하시고 계시네요. / 선화 씨와 라디오 프로그램을 하나 같이 해보고 싶어서 만나자고 했어요.

 

방송국 연출자는 선화를 통해 북한 사람다움에 대해 남한 사람들이 갖는 편견을 보여주는데요김봄희 작가의 실제 경험이라고 합니다.

공연장 입구_관객입장 대기 중.jpg
제주도 사투리부터 북한 사투리까지 한반도 전역의 특색을 갖춘 각 지방의 사투리가 ‘말모이 축제’ 입구 모습

 

[인터뷰-김봄희어떤 직업에 있어서나 그리고 또 사회생활 부분에 있어서는 좀 더 가상의 인물이 등장해요제가 일을 하면서 느낀 것은 어떤 특정한 이미지 안에서예를 들면 단순하게는 북한에서 왔는데 왜 함북도 말을 하지 않거나 탈북할 때 어떤 고통이 있었는지를 얘기하지 않거나… 이럴 때 저에게 북한에서 온 거 맞아?’ 이런 질문이 돌아오더라고요.

 

이런 선입견이 탈북민들에게는 한국 사회에서 보이지 않는 벽처럼 느껴지기도 하는데요김봄희 작가는 이런 상황을 극 중 선화를 통해서 관객들에게 전합니다.

 

주인공 선화는 회사를 홍보해 사업이 잘되고돈도 더 벌고 싶다는 마음에서 결국 라디오 방송에 출연하게 되는데요선화의 말투에 청취자들은 탈북민이 맞냐는 항의를 해옵니다.  

 

결국 선화는 같은 탈북민에게 북한말을 배우기까지 하는데요.   

 

[현장음] (선화저 이런 일 하거든요그래서 아주머니가 저한테 말을 좀 가르쳐 주시면 될 것 같은데.. / 무슨 말인지 영문을 모르겠다야… / (선화) 우선 한 번 만나서 가르쳐줄 때마다 10만 원씩 어때요? / 십만 원많구나근데 니 어째 힘들게 남조선 말을 배우고 또 북조선 말을 배우자고 하니? / (선화그러니까 지금 필요해서요. / 너 북한에 다시 가려고? / (선화아니 아니요

 

선화는 자신이 탈북민임을 증명하기 위해 노력하지만 상황은 좀처럼 나아지지 않는데요.

 

[현장음] 단도직입적으로 묻겠습니다정말 북한에서 오신 거 맞나요김선화 씨요! / (선화저는 북한 강원도 원산시 봉춘동에 태어나서… / 근데 왜 지금도 북한 말을 잘 못 하세요? / (선화지금이니까요그리고 저는 북한말을 사용하는... / 대부분 두만강과 압록강을 건너고 인신매매를 당한다고 들었는데 선화 씨도 그런 일이 있었나요? / (선화제가 그 질문에 왜 대답해야 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북한 말씨로 또 과거의 고통을 들추어내는 것으로 탈북민임을 증명해야 한다는 선입견에 마주한 선화의 모습은 관객들로 하여금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듭니다.

 

편견과 고정관념으로 인해 사실이 왜곡되고 오해와 불신이 생길 수 있다는 건 우리가 살면서 한 번쯤은 경험하게 되는데요바로 이런 점을 관객들이 조금은 느낄 수 있기를 바라는 사람이 있습니다. ‘붉은 손톱달의 연출가 손아진 씨입니다.

 

[인터뷰-손아진] 선화가 이 작품 안에서의 주인공이고 나머지는 다 외부 인물이거든요근데 그 외부 인물들이 선화에게 주는 압박이나 어떤 인식이나 프레임들이 있거든요근데 그러한 모습들을 밖에 있는 관객의 입장에서 봤을 때 나는 북한이탈주민 선화를 보면서 어떻게 느끼고 있는지’ ‘어떤 인식을 갖고 보고 있는지’ 스스로 되게 점검할 수 있는 시간이 됐으면 좋겠고요선화라는 인물이 아니더라도 내가 사람 대 사람으로 누군가를 대할 내가 선입견인식을 갖고 대하지 않나 곱씹어 볼 수 있는 그런 시간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Closing Music-

 

선화는 정체성을 증명하라고 요구하는 청취자를 향해 결국 큰 소리를 내고 연극은 절정에 달하는데요. ‘붉은 손톱달’ 남은 이야기는 다음 시간에 이어가겠습니다. <여기는 서울김인선이었습니다.

 

에디터 이현주웹편집

댓글 달기

아래 양식으로 댓글을 작성해 주십시오. Comments are moder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