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전망대] ‘김정운’과 ‘김정은’ 혼란
박봉현∙ 자유아시아방송 시니어 에디터
2009.09.17
2009.09.17
2009년 1월 1일부터 9월 15일까지 북한의 로동신문에 김일성 전 주석의 이름이 62번,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이름이 384번 등장했습니다. 조선중앙통신에는 김일성 전 주석이 217번, 김정일 위원장이 175번 거명됐습니다. 세습을 이어간 김일성-김정일 부자의 이름은 거의 예외 없이 북한 언론의 머리기사를 장식했습니다.
그런데 ‘김정운’ 또는 ‘김정은’으로 알려진 김정일 위원장의 삼남의 이름은 이 기간에 로동신문과 조선중앙통신에 단 한 차례도 언급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한국 언론은 김 위원장의 삼남의 이름을 하루가 멀다고 쏟아냈습니다.
한국의 연합뉴스만 해도 이 기간에 삼남의 이름을 285번이나 언급했습니다. 한국의 매체를 망라하면 수천 번도 넘을 겁니다. 북한 언론이 김 위원장의 삼남에 대해 무관심으로 일관하는 데 반해, 한국언론은 그의 동향에 대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한국 사회가 김 위원장의 삼남에 지대한 관심을 보이는 이유는 그가 김 위원장의 후계자로 부상하고 있다는 점 때문입니다.
그런데 며칠 전 희한한 일이 벌어졌습니다. 바로 이 삼남의 이름이 시빗거리가 됐습니다. 그동안 ‘김정운’으로 통용돼온 이름이 사실과 다르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논란이 불거졌습니다. ‘김정운’이 아니라 ‘김정은’이라는 것입니다.
‘김정운’이 맞는 이름이라는 소위 ‘김정운파’는 ‘김정일의 요리사’란 책을 펴낸 일본인 후지모토 겐지 씨의 증언을 근거로 내세웁니다. 후지모토 씨는 자신의 일본어 책에서 김정운의 ‘운’을 ‘구름 운’자로 표기했습니다.
한국 노무현 정부 시절의 외교 안보 관계자도 “당시 모든 보고서에서 김정운으로 명기됐다”고 말했습니다. 이명박 정부에서도 지난 5월 북한이 재외공관에 보낸 전문을 토대로 ‘김정운’이 후계자로 내정됐다고 확인했습니다.
또 ‘김정은’이 여자이름이므로 남자에게 붙였을 리 없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김 위원장이 자신의 아들을 여자처럼 불리게 했겠느냐는 겁니다.
원래 이름이 ‘김정운’인데 북한에 있는 ‘허위정보 제조공장’에서 후계구도와 관련해 외부세계에 혼선을 일으킬 목적으로 ‘김정은’이란 이름을 의도적으로 퍼트렸을 가능성도 지적됩니다.
이에 맞서 ‘김정은파’는 이름 마지막 글자가 ‘운’이 아니라 ‘은’이라고 말합니다. 우선 북한에서는 한자를 거의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후지모토 씨가 쓴 ‘구름 운’이라는 표기 자체에 신빙성이 없다고 주장합니다. 게다가 ‘구름 운’에는 구름처럼 정처 없이 떠돈다는 의미가 있어 김 위원장이 아들 이름을 그렇게 지었을 리 만무하다는 해석도 있습니다.
일본의 마이니치신문도 ‘김정은파’에 가세했습니다. 이 신문은 최근 입수한 북한 내부의 교양자료에서 김 위원장의 삼남을 ‘군사의 영재’라고 추켜세우면서 이름을 ‘김정은’으로 표기했다고 보도했습니다.
또 대북소식통들은 김정운이 본명이지만 지난 6월 말 재외공관에 보낸 지시문에서는 ‘김정운’ 대신 ‘김정은’으로 기록된 것으로 안다고 말했습니다.
그래서 북한이 김 위원장 삼남의 후계 작업을 본격화하는 과정에서 이름을 바꾼 것이 아니냐는 추측을 낳고 있습니다. 사실 김 위원장 자신도 어린 시절엔 ‘유라’라는 러시아식 아명을 사용했었습니다.
한국정부는 공식으로 확인하지는 않았지만, ‘김정운’이 아니라 ‘김정은’이 맞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정부 관계자는 김 위원장의 요리사 출신인 후지모토 씨가 ‘김정은’을 ‘김정운’으로 잘못 발음한 게 원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일본인의 발음 특성상 ‘운’과 ‘은’을 구별하기 어렵다는 점을 그 이유로 들었습니다.
이름에서 비롯된 혼란은 한국의 언론을 엉거주춤하게 합니다. 어느 신문은 자체 확인을 할 수 없는 상황이라 당분간 ‘김정운’으로 표기한다는 임시방편을 쓰기도 했습니다. 다른 매체는 ‘김정운’과 ‘김정은’을 함께 적는 어색한 방식을 택했습니다.
북한의 최고지도자가 될 수 있는 예비 후계자의 일거수일투족에 주목하는 데는 이해가 갑니다. 그러나 그의 이름에 이처럼 힘을 쏟는 일은 수긍이가질 않습니다.
만일 미국언론이 한국의 대통령 ‘이명박’을 ‘이명반’이라고 보도했다면 정부관계자가 즉각 시정을 요청할 겁니다. 또 아들의 이름이 잘못 불리면 아버지는 당장 “내 아들은 아무개”라고 밝히는 게 상식입니다. ‘김정운’과 ‘김정은’을 둘러싼 논란도 간단히 마무리될 수 있는 일인데, 북한정부의 침묵으로 아직 해결기미가 보이지 않습니다.
그런데 ‘김정운’ 또는 ‘김정은’으로 알려진 김정일 위원장의 삼남의 이름은 이 기간에 로동신문과 조선중앙통신에 단 한 차례도 언급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한국 언론은 김 위원장의 삼남의 이름을 하루가 멀다고 쏟아냈습니다.
한국의 연합뉴스만 해도 이 기간에 삼남의 이름을 285번이나 언급했습니다. 한국의 매체를 망라하면 수천 번도 넘을 겁니다. 북한 언론이 김 위원장의 삼남에 대해 무관심으로 일관하는 데 반해, 한국언론은 그의 동향에 대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한국 사회가 김 위원장의 삼남에 지대한 관심을 보이는 이유는 그가 김 위원장의 후계자로 부상하고 있다는 점 때문입니다.
그런데 며칠 전 희한한 일이 벌어졌습니다. 바로 이 삼남의 이름이 시빗거리가 됐습니다. 그동안 ‘김정운’으로 통용돼온 이름이 사실과 다르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논란이 불거졌습니다. ‘김정운’이 아니라 ‘김정은’이라는 것입니다.
‘김정운’이 맞는 이름이라는 소위 ‘김정운파’는 ‘김정일의 요리사’란 책을 펴낸 일본인 후지모토 겐지 씨의 증언을 근거로 내세웁니다. 후지모토 씨는 자신의 일본어 책에서 김정운의 ‘운’을 ‘구름 운’자로 표기했습니다.
한국 노무현 정부 시절의 외교 안보 관계자도 “당시 모든 보고서에서 김정운으로 명기됐다”고 말했습니다. 이명박 정부에서도 지난 5월 북한이 재외공관에 보낸 전문을 토대로 ‘김정운’이 후계자로 내정됐다고 확인했습니다.
또 ‘김정은’이 여자이름이므로 남자에게 붙였을 리 없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김 위원장이 자신의 아들을 여자처럼 불리게 했겠느냐는 겁니다.
원래 이름이 ‘김정운’인데 북한에 있는 ‘허위정보 제조공장’에서 후계구도와 관련해 외부세계에 혼선을 일으킬 목적으로 ‘김정은’이란 이름을 의도적으로 퍼트렸을 가능성도 지적됩니다.
이에 맞서 ‘김정은파’는 이름 마지막 글자가 ‘운’이 아니라 ‘은’이라고 말합니다. 우선 북한에서는 한자를 거의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후지모토 씨가 쓴 ‘구름 운’이라는 표기 자체에 신빙성이 없다고 주장합니다. 게다가 ‘구름 운’에는 구름처럼 정처 없이 떠돈다는 의미가 있어 김 위원장이 아들 이름을 그렇게 지었을 리 만무하다는 해석도 있습니다.
일본의 마이니치신문도 ‘김정은파’에 가세했습니다. 이 신문은 최근 입수한 북한 내부의 교양자료에서 김 위원장의 삼남을 ‘군사의 영재’라고 추켜세우면서 이름을 ‘김정은’으로 표기했다고 보도했습니다.
또 대북소식통들은 김정운이 본명이지만 지난 6월 말 재외공관에 보낸 지시문에서는 ‘김정운’ 대신 ‘김정은’으로 기록된 것으로 안다고 말했습니다.
그래서 북한이 김 위원장 삼남의 후계 작업을 본격화하는 과정에서 이름을 바꾼 것이 아니냐는 추측을 낳고 있습니다. 사실 김 위원장 자신도 어린 시절엔 ‘유라’라는 러시아식 아명을 사용했었습니다.
한국정부는 공식으로 확인하지는 않았지만, ‘김정운’이 아니라 ‘김정은’이 맞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정부 관계자는 김 위원장의 요리사 출신인 후지모토 씨가 ‘김정은’을 ‘김정운’으로 잘못 발음한 게 원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일본인의 발음 특성상 ‘운’과 ‘은’을 구별하기 어렵다는 점을 그 이유로 들었습니다.
이름에서 비롯된 혼란은 한국의 언론을 엉거주춤하게 합니다. 어느 신문은 자체 확인을 할 수 없는 상황이라 당분간 ‘김정운’으로 표기한다는 임시방편을 쓰기도 했습니다. 다른 매체는 ‘김정운’과 ‘김정은’을 함께 적는 어색한 방식을 택했습니다.
북한의 최고지도자가 될 수 있는 예비 후계자의 일거수일투족에 주목하는 데는 이해가 갑니다. 그러나 그의 이름에 이처럼 힘을 쏟는 일은 수긍이가질 않습니다.
만일 미국언론이 한국의 대통령 ‘이명박’을 ‘이명반’이라고 보도했다면 정부관계자가 즉각 시정을 요청할 겁니다. 또 아들의 이름이 잘못 불리면 아버지는 당장 “내 아들은 아무개”라고 밝히는 게 상식입니다. ‘김정운’과 ‘김정은’을 둘러싼 논란도 간단히 마무리될 수 있는 일인데, 북한정부의 침묵으로 아직 해결기미가 보이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