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매거진] 6전 무승 꼴찌 북, 월드컵 예선 대반전 가능할까?
2024.11.20
2026 북중미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에서의 북한 축구의 부진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11월 두 경기를 모두 놓치며 아메리카 대륙으로 가는 월드컵 본선행이 점점 더 멀어지는 모습입니다.
2무4패 북, 남은 4경기 전승해도 4차 예선 어렵다
2026 북중미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의 2024년 일정이 끝난 현재 6경기를 치른 북한은 2무승부 4패로 6팀이 속한 A조의 최하위입니다.
조 선두권과 맞붙었던 11월 두 경기를 모두 놓친 아쉬움이 컸습니다.
북한은 지난 19일 라오스 비엔티안의 신국립경기장에서 열린 2026 북중미 월드컵 아시아 3차 예선 A조 6차전에서 우즈베키스탄에 0-1로 졌습니다. 한 점 뒤지던 후반, 우즈베키스탄 선수의 반칙으로 퇴장 당했고 북한이 페날트킥을 얻으며 결정적인 동점 기회를 얻었지만 정일관의 실축으로 4패째를 안았습니다.
지난 14일 아시아 축구 강국인 이란과의 경기도 아쉬웠습니다. 북한은 0-3으로 끌려가던 후반 7분 이란의 쇼자 할릴자데가 퇴장 당하면서 수적 우위를 점하며 2대3까지 따라갔지만 승부를 뒤집진 못했습니다.
북한은 이란, 우즈베키스탄, 아랍에미리트연합, 카타르, 키르기스스탄과 함께 A조에 속해 있습니다.
<관련기사>
[스포츠 매거진] 북, 월드컵 예선 11월 두 경기 모두 평양 대신 라오스
[스포츠 매거진] 최약체에도 패한 북, 월드컵 멀어지나
9월 5일 시작된 아시아 3차 예선은 출전국 당 10경기씩 치르는데, 6경기를 치른 북한은 2무승부 4패로 조 최하위입니다.
이란이 5승 1무승부 승점 16점으로 조 선두이고 북한에 1승을 추가한 우즈벡이 4승1무승부 1패로 승점 13점 A조 2위입니다.
아랍에미리트연합이 3승 1무승부 2패 승점 10점으로 3위, 카타르가 2승 1무 3패 승점 7점으로 4위입니다. 북한에 1승을 거둔 키르기스스탄은 1승 5패로 승점 3점으로 조 5위, 무승의 북한이 6위입니다.
내년 6월에 끝날 아시아 3차예선에서는 월드컵 본선 진출국 6개팀이 결정됩니다. 3개조의 조2위를 차지하는 6개 나라는 2026년 미국, 캐나다, 멕시코가 공동 주최하는 월드컵 초청장을 일찌감치 받게 됩니다.
북한은 아시아 3차 예선을 넘어 최종 예선인 4차 예선 진출이 목표입니다.
각조 3위와 4위 총 6개 나라가 아시아 4차 예선에서 맞붙습니다. 북한이 남은 4경기 전승을 해야 4위권 희망이 불씨를 살릴 수 있습니다.
내년 3월과 6월에 열릴 북한의 3차 예선 남은 4경기 상대는 2025년 3월의 카타르, 아랍에미리트연합, 6월의 키르기스스탄, 이란입니다.
북한이 4경기를 모두 승리한다면 4승2무4패로 승점 14점이 됩니다.
A조의 3위와 4위가 유력한 아랍에미리트와 카타르는 북한에 패하고 남은 3경기를 모두 승리한다면 승점 16점으로 4위권을 확정할 수 있습니다.
북한이 아시아 4차예선에 가려면, 남은 4경기를 모두 승리하고 아랍에미리트나 카타르가 2승2패 또는 2승1무1패를 해야 합니다.
내년 6월까지 진행될 아시아 3차 예선은 18개팀이 6개씩 묶인 3개 조별로 경쟁합니다.
자국과 상대국을 오가며 두번씩 모두 10경기를 치른 뒤 조별 1위와 2위는 2026년 미국, 캐나다, 멕스코 월드컵 직행을 확정합니다.
6개국의 본선 확정 뒤 남은 2.5장의 본선행을 두고 4차 예선을 벌입니다.
북한은 1966년 잉글랜드, 2010년 남아프리카공화국 대회에 이어 세 번째 월드컵 본선 진출에 도전하고 있습니다.
북한은 해를 넘긴 2025년 3월 20일 카타르 원정, 3월 25일 아랍에미리트와의 제3국경기, 6월 5일 키르기스스탄과 제3국경기, 6월10일 이란 원정으로 3차 예선을 끝냅니다.
자국과 상대국을 오가며 경기를 펼치는 홈 엔드 어웨이 방식으로 치뤄지는 아시아 3차 예선의 규칙상 북한의 2025년 3월 25일과 6월 5일 두 경기는 평양에서 열려야 했지만 원정도 홈도 아닌 제3국인 라오스로 변경됐습니다.
FIFA로부터 월드컵 예선의 홈경기 자격을 박탈 당했기 때문입니다.
북한은 202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에서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의 입국과 홈경기 개최를 거부하면서 FIFA로부터 벌금과 홈경기 박탈의 제재를 받았고 3차 예선의 모든 홈경기를 중립국인 라오스에서 진행했습니다.
B조는 한국, C조는 일본이 선두
B조는 한국이 4승 2무로 승점 14점 단독 선두로 월드컵 본선행 초대장을 일찌감치 확보할 가능성이 큽니다.
이라크가 3승2무1패로 승점 11점 2위이고 요르단 오만이 3위, 4위 그리고 팔레스타인과 쿠웨이트가 승점 3점으로 5위, 6위입니다.
C조는 일본이 5승 1무승부로 승점 16점 단독 1위입니다. 호주, 인도네시아, 사우디 아라비아, 중국이 승점 6점으로 2위를 다투고 있습니다. 바레인도 승점 5점으로 6위입니다.
에디터 이진서, 웹편집 이경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