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북한당국이 어린이 보육정책의 하나로 내세운 젖제품 공급이 주민들의 불만을 사고 있습니다. 당국이 한 달에 한 두 번 이용하는'우유공급실'을 주민들이 자체로 꾸릴 것을 지시했기 때문이라는 설명입니다. 북한 내부소식 김지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2021년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노동당 제8기 3차 전원회의에서 “국가적 부담으로 전국의 어린이들에게 젖제품(유제품)을 비롯한 영양식을 공급하는 것을 당의 정책으로 수립하라”고 지시한 바 있습니다. 하지만 현실은 당국의 선전과 다르다는 지적입니다.
함경북도의 한 주민소식통(신변안전을 위해 익명 요청)은 8일 “요즘 당의 지시로 도내 각 인민반들에서‘우유공급실’꾸리기에 나서고 있다”면서 “당에서 이달 들어 탁아소 대상 어린이들에게 우유를 공급할 장소를 자체로 잘 꾸릴 것을 지시했다”고 지적했습니다.
소식통은 “이 지시에 따라 각 세대마다 ‘우유공급실’ 꾸리기 비용으로 5천원씩 바쳐야 한다”면서 “동사무소의 방 하나를 내어 ‘우유공급실’로 꾸리는데 드는 비용을 해당 지역에 사는 주민들이 세대 당 부담하게 한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북한에서 결혼한 여성은 취직해야 탁아 연령의 아기(5세까지)를 탁아소(국영)에 맡길 수 있습니다. 부양가족(남편혼자 일해서 아내와 자녀를 부양하는 경우)의 자녀는 탁아소 대상에서 제외되고 6살이 되어야 유치원 대상이 되어 국가의 공식적인 교육시스템에 들어갈 수 있습니다.
때문에 부양가족의 자식은 집에서 가족이 돌봐야 하는데 당국이 올해 초부터 이들에게도 우유를 제공한다는 방침을 세웠다고 합니다. 우유는 액체상태(우유)나 고체상태의 유분(분유)으로 공급되며 일주일에 한 번, 또는 보름에 한번 정도로 어린이 1인당 1주일 분으로 우유 1고뿌(컵)나 유분 1숟가락씩 공급한다는 설명입니다.
“우유는 동사무소에 배정되면 각 인민반에 알리고 인민반장이 우유공급대상 세대에 ‘우유 먹이러 가라’고 전한다”면서 “대상 어린이를 데려가지 않으면 우유를 공급하지 않는다는 원칙때문에 멀리에 사는 주민들은 대부분 빠지는 실정”이라고 그는 언급했습니다.
그러면서 “1월과 2월에는 악성감기와 폐렴이 돌아 부양가족의 공급대상들은 본의아니게 우유공급에서 제외되었다”면서 “100g의 우유나 콩물(메주콩)을 먹이려고 아기를 업고 동사무소에 가느니 차라리 안 먹이는 게 낫다는 입장이었기 때문”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와 관련 평안북도의 한 주민소식통(신변안전을 위해 익명 요청)은 12일 “요즘 도당의 지시에 따라 ‘우유공급실’ 꾸리기가 한창”이라면서 “당에서 ‘어린이 영양보충을 위해 탁아소 대상 어린이들에게 우유공급을 실시했다”고 자유아시아방송에 전했습니다.
소식통은 “동사무소에서 주는 우유는 탁아소에 가지 못한 부양가족의 탁아연령(5세 이하) 어린이들이 대상”이라면서 “비록 1주일에 한 번, 또는 한 달에 한 두 번 제공되지만 꼭 대상 어린이를 데려가야 이름에 수표(사인)를 하고 우유를 먹일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또 “하지만 부양가족은 대부분 생계를 위해 장마당이나 외부에서 한끼 식량벌이에 나서서 갈 수 없는 실정”이라며 “대부분의 어린이는 집에서 조부모가 돌보고 있어 우유가 왔다는 동사무소의 통보를 받아도 가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최근 콩가루인지 유분(분유)인지 모를 노란색의 가루를 1주일에 한 숟가락씩 계산해 2주치 량으로 두 숟가락을 공급했다”면서 “그나마 워낙 동사무소에 등록된 어린이 수가 적기도 하지만 우유를 타러 오는 대상도 별로 없는 실정”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런 실정에서도 당에서는 하늘보다 높고 바다보다 넓은 위대한 총비서(김정은)의 은정을 선전하고 있다”면서 “게다가 텅 비어있다시피 한 우유공급실을 멋있게 꾸리라는 당의 지시에 지역 주민들이 비용과 노력을 전부 부담해야 하는 실정”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에디터 양성원,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