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 청소년 안전 위한 서명운동

워싱턴-양희정 yangh@rfa.org
2013.07.05

앵커: 한국의 인권단체가 지난5월 라오스에서 체포돼 강제북송된 탈북청소년의 안전보장을 촉구하는 서명운동을 벌이고 있습니다.

양희정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한국의 대북인권단체 북한정의연대(Justice for North Korea)의 정베드로 대표는 5일 자유아시아방송과 회견에서 최근 라오스에서 북한으로 송환된 탈북청소년 9명의 안전을 위한 온라인 서명운동(http://www.change.org/petitions/to-the-republic-of-korea-s-ministry-of-foreign-affairs-ensure-the-safety-of-the-nine-repatriated-north-korean-youth-before-christmas)에 국제사회가 동참해 줄 것을 요청했습니다.

정 베드로 대표: 유엔기구를 통해 아이들의 생사를 끝까지 확인하는 노력을 지속적으로 할 것을 촉구합니다. 북한이 이 아이들을 체제 선전에 이용하더라도 국제사회가 계속해서 촉구한다면 우리가 계속해서 그 아이들의 소식을 들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국제사회가 더 지속적으로 여론을 확산하는 게 필요하다고 봅니다.

정 대표는 특히 한국 정치권의 이들 청소년들에 대한 관심이 최근 뚝 떨어졌다며 이들이 당분간 북한 체제선전에 이용되다가 결국은 정치범수용소에 보내질 수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정 대표는 북한의 조선중앙통신에서 이들 탈북청소년들이 자신들을 인도한 선교사와 지원한 나라들을 비난하고 성토했다고 주장했지만, 북한 당국이 탈북청소년을 압박해 체제선전에 이용하고 있을 뿐이라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정 대표: 저희들은 이 아이들이 다른 수용소나 교화소, 또 완전통제구역으로 보내질 수도 있다는 우려를 하고 있습니다.

정 대표는 따라서 한국과 중국 정부, 유엔 등을 통해 탈북청소년의 신변에 위험이 생기지 않도록 국제사회의 관심을 촉구하는 인터넷 서명운동을 오는 12월 성탄절까지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서명운동이 한국 뿐 아니라 국제사회로까지 확산되면 서명서와 함께 유엔인권최고대표사무소 등에 진정서를 낼 것이라는 설명입니다.

한편, 이 단체가 속해 있는 한국과 일본 등 40여개 인권단체들의 연합체인 북한반인도범죄철폐국제연대 (ICNK)의 권은경 국제팀장은 ‘임의적 구금에 관한 실무그룹(WGAD: Working Group on Arbitrary Detention)’으로부터 이 문제에 관심을 가질 것이라는 답변을 들었다고 5일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권 팀장: 실무그룹에서도 북송된 사람의 생명을 다루는 일이 임무라는 것을 인지하고 있고 관심을 가지고 살펴보겠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그리고 또 11월 중순 정기회의에서 실무그룹의 법조인들과 같이 이 문제를 논의할 것이라는 얘기도 했습니다.

권 팀장은 5일 제네바에서 이 실무그룹을 만나 강제북송된 청소년들이 목숨을 부지하고 거짓 선동에 이용되고 있는 것은 국제사회가 이들의 안전문제에 주목하고 있기 때문이고 따라서 국제사회가 이들에 대한 관심을 늦춰서는 안된다는 점을 재차 강조했다고 말했습니다.

댓글 달기

아래 양식으로 댓글을 작성해 주십시오. Comments are moder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