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사회주의 ‘무상제도’ 완전포기

서울-문성휘 xallsl@rfa.org
2015.06.02

앵커: 북한이 사회주의 체제의 기본 상징인 ‘무상제도’를 점차 포기하고 있다고 내부 소식통들이 지적했습니다. 이 같은 조치의 하나로 지역 인민병원의 약국운영을 중단함으로써 주민들에 대한 ‘보건학살’이라는 비난까지 나오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한 내부소식 문성휘 기자가 보도합니다.

‘보건환경’을 개선할 데 대한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의 지시에 따라 북한의 각 도, 시, 군들에 있는 인민병원들이 대대적인 보수작업을 거쳐 모습을 일신했다고 여러 현지 소식통들이 전해왔습니다.

외벽과 내부보수, 지붕수리까지 끝내면서 병원의 비위생적인 시설들이 말끔하게 탈바꿈을 했다는 게 소식통들의 전언입니다. 그러나 ‘보건환경’을 개선했다고 해서 환자에 대한 치료의 질이 높아진 건 결코 아니라고 소식통들은 강조하고 있습니다.

양강도의 한 소식통은 “각 지방 당 조직들에서 책임지고 군 인민병원과 농촌진료소들의 시설을 깔끔하게 꾸려놓았다”면서 “눈에 보이는 보건환경은 개선됐는데 환자를 위한 보건환경은 오히려 더 악화되었다”고 1일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북한은 건국 이후 ‘사회주의 무상치료(의료)제’를 선전하면서 환자치료와 의약품공급을 전부 무상으로 제공해 왔으나 ‘고난의 행군’을 겪으면서 이러한 ‘무상치료(의료)제’가 사실상 붕괴상태에 이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러나 2013년 ‘보건환경’을 개선할 데 대한 김정은의 지시로 병원들마다 감기약과 설사약을 비롯한 기초약품들을 제한적으로 환자들에게 무상공급을 하면서 주민들은 ‘무상치료제’가 부활하는 것 아니냐는 기대를 가졌었다고 소식통은 덧붙였습니다.

이와 관련 최근 연락이 닿은 함경북도의 한 소식통은 “보건환경 개선이라는 게 환자의 치료환경 개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며 “앞으로 환자치료도 그래, 학생들의 교육에서도 무상이란 말은 일체 없어질 것”이라고 못 박았습니다.

북한은 ‘무상제도’를 없애려는 계획을 이미 지난해 5월에 내부적으로 결정한 상태였다며 다만 갑작스러운 변화보다 주민들이 부담을 덜 느끼도록 시간을 두고 점차적인 방법으로 이런 제도를 시행하게 될 것이라고 그는 언급했습니다.

‘무상제도’를 없애기 위한 첫 조치로 북한은 올해 4월부터 병원들에서 무상이던 의약품 공급을 중단했다며 대신 ‘약국’들에서 감기약과 눈(안)약, 설사약과 같은 기초약품들을 북한 돈 백원 미만으로 아주 눅(싸)게 팔아 주고 있다고 그는 설명했습니다.

한편 2일 함경북도의 한 지식인 소식통은 “기초약품 무상공급이 중단되면서 ‘보건학살’이라는 주민들의 비난이 매우 거세지고 있다”며 “이런 상황에서 앞으로 ‘무상제도’가 모두 없어진다는 사실이 알려질 경우 주민들로부터 어떤 반발이 일지 모른다”고 강한 우려를 나타냈습니다.

댓글 달기

아래 양식으로 댓글을 작성해 주십시오. Comments are moder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