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전문가 “한미일, 북 미사일 정보 ‘전자신호’로 실시간 공유”

0:00 / 0:00

앵커 :한미일 3국이 북한 미사일 정보 공유를 가동했습니다. 북한 도발에 대한 위협에 대응하는 것인데, 적외선 위성 등 첨단기기의 전자신호를 공유하게 될 거란 분석이 나왔습니다. 박재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 국방부가 19일 실시하기로 한‘한미일 북한 미사일 경고 정보 공유 체계’.

이에 따르면 한미일 3국의 정찰 자산을 통해 발사 원점부터 탄착 지점까지 미사일 발사부터 비행 전 구간에 대한 정보를 신속하게 공유하게 됩니다.

인도태평양사령부는 이날 자유아시아방송(RFA)에“오늘 발표에서와 마찬가지로 정보공유는 실시간을 통해 작동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렇다면 어떤 방식으로 실시간 정보공유가 가능할까?

그간 미사일 정보 공유는 한미, 미일 양자 간에만 이뤄졌는데, 특히 한국은 일본과 달리 미국의 미사일 방어체계(MD)에 참여하지 않아와 실시간 공유가 쉽지 않았던 것으로 전해집니다.

브루스 베넷 랜드연구소 선임연구원은RFA와의 통화에서“가장 큰 차이점은 미국의 조기 경보 기능이 (한국과) 전자 신호로 연결되는 것”이라며“그간 이 정보는 전자 신호로 공유되지 않아왔다”고 설명했습니다.

기존에 한미 간 미국 첨단 위성자산을 통한 북한 미사일 탐지 및 경보는 대면, 유선, 무선을 통해 진행해왔지만, 이제는 전자방식으로 가능케 된다는 설명입니다.

베넷 연구원 :북한 미사일은 한국으로 5분 정도면 갈 수 있습니다. 그것을 탐지하고 추적한 다음에 그것이 정말 남한으로 들어갈 경우 요격하는 과정은 매우 짧은 시간입니다. 따라서 이 과정을 신속화하기 위한 모든 것은 도움이 됩니다.

다만 미 국방부는 구체적인 정보공유 방식에 대해 묻는 질문에 더 이상 정보는 알려줄 수 없다고 답했습니다.

안킷 판다 카네기국제평화재단 선임 연구원도 19일 RFA에“미국의 열적외선 위성 정보를 동맹국들과 실시간으로 공유할 의사가 있다면 미사일 추적과 경고는 훨씬 개선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2022년 4월 북한은 정점고도가 낮고 비행거리가 짧은 신형 탄도미사일 2발을 시험 발사했는데, 한국과 일본 당국은 이를 바로 확인할 수 없었던 것으로 전해집니다.

당시 해당 미사일은 미국에 의해 알려졌는데 우주에서 미사일의 열적외선을 감지하는 우주배치적외선체계(SBIRS: Space-Based Infrared System) 위성을 활용했던 것으로 전해집니다.

한국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 위성 기술뿐 아니라 미국의 DSP(정지궤도 위성), STSS(저궤도 위성) 등 10여 개의 조기경보위성에서 탐지한 경보정보를 앞으로 공유하게 됐습니다.

한편, 미 국방부는 이날 이번 공유체계 가동과 함께 2024년 초 이행될 3자 훈련계획을 공동으로 수립했다고 밝혔습니다.

에디터 이상민,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