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민 겨냥 반간첩법 시행 중국, 한국서 비밀경찰서 운영

0:00 / 0:00

앵커 :탈북민과 북한인권활동가들의 활동을 위축시킨 반간첩법을 시행 중인 중국이 한국 등에서는 비밀경찰서를 운영했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조진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의 수도 서울 중심에 위치한 한강공원은 수십 년 동안 지역 주민들의 오아시스 역할을 해왔습니다.

자유아시아방송(RFA) 기자가 최근 한강공원을 찾았을때도 예외가 아니었는데, 사람들이 주말을 맞아산책을 하거나 자전거를 타고, 가족들은 일몰을 감상하며 식사를 즐겼습니다.

이런 아름다운 한강공원에 어울리지 않은 모습이 기자의 눈에 뜨었는데, 바로 활기찬 도시의 분위기와 어울리지 않게 침울하게 떠다니는 식당이었습니다.

한강공원에서 조깅을 즐기던 한 20대 여성은 기자에게 그곳이 ‘중국의 비밀경찰서’라고 말했습니다.

확인해보니 이 3층짜리 유리 건물은 불이 꺼져 있었고 입구 앞에는 행인들의 접근을 막기 위한 가림막이 세워져 있었습니다.

한 표지판에는 “안전 점검 및 수리를 위해 폐쇄됐다”며 “무단 출입은 금지한다”는 경고 문구가 적혀있었습니다.

멀리서 건물 1층 모퉁이를 비추는 희미한 불빛 아래서 한 인물이 이리저리 서성이는 것이 보였는데, 내부는 식당이라기보다는 사무실 처럼 보였고, 선반에는 서류와 공책이 놓여 있었습니다.

중국의 상하이 TV타워인 ‘오리엔탈 펄 타워’(Oriental Pearl Tower)를 한국어로 번역한 식당의 이름은 ‘동방명주’로, 현재는 한국 정보당국의 감시 대상입니다.

관련 내용에 정통한 한 관계자는 자유아시아방송에 “(동방명주) 직원들이 한국에서 민감한 정보를 수집하는 데 관여했다는 징후가 있다”면서도 자세한 내용은 밝히지 않았습니다.

d2.jpeg
중국의 비밀경찰서로 확인된 동방명주 앞에 바리게이트가 쳐져 있다. /RFA Photo-Lee Jeong-Ho

한국경제 등 한국 언론에 따르면 당국은 이 식당이 수배 중인 중국인을 한국에서 중국으로 송환하는 등 불법적인 영사 업무를 수행한 것으로 잠정 결론지었습니다.

이같은 중국의 비밀경찰서 논란은 한국뿐 만이 아닙니다. 미 법무부는 지난 4월 뉴욕에서 비밀경찰서를 운영한 혐의로 2명을 체포하기도 했습니다.

특히 중국은 지난 7월부터 자국 반간첩법을 개정하고 시행에 나서고 있는 가운데 외국에서 비밀경찰서를 운영하고 있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논란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중국의 반간첩법이 대폭 개정된 후 중국을 여행하는 탈북민들과 북한인권활동가들의 활동이 대폭 축소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실제 익명을 요구한 한 탈북 구출활동가는 최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앞으로 탈북민 구출 활동이 더 어려워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탈북 인권활동가 :반간첩법을 적용하게 되면 중국 사람들이 자기 땅에서 절대 하려고 하지 않지요. 탈북민들을 돕기 어렵지요. 현지인들을 정말 잘 써야 하는데, 잘못 쓰면 너 죽고 나 죽고 할 판이지. 중국사람들에게 지금 하자고 하면 가뜩이나 코로나 때문에 통제하는데, 여기에 반간첩 행위를 하면 법적 처벌을 준다고 하면 절대 안 움직이려고 하지요. 그거 돈을 얼마나 받겠다고 감옥살이 하겠다는 사람 어디 있겠어요?

자국에선 반간첩법 개정으로 탈북민들과 북한인권활동가들의 활동을 억압하면서 해외에선 비밀경찰서를 운영하며 인권을 외면하는 중국에 국제사회가 향후 어떤 대책을 내놓을 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에디터 박정우,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