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의 인터넷 경매 사이트 이베이(eBay)에는 중고 자전거에서부터 유명한 연예인들의 머리카락이 묻어있는 빗, 또 국가 원수가 자필 서명한 사진에 이르기 까지 없는 게 없습니다. 그런데 이베이에서는 상당한 양의 북한 관련 물품들이 경매되고 있습니다. 특히 북한의 노력훈장이나 영웅메달, 인민군 군복등이 인터넷 경매장에 올라있어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이진희 기자와 함께 자세한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이베이 사이트에는 북한관련 물품이 대략 어느 정도가 있나요?
사이트에 직접 들어가서, 영어로 북한이라고 쳐 봤는데요. 전체적으로 320여점의 물건이 있다는 결과를 얻었습니다. 이 중에서 270여점이 이미 경매에 부쳐져 있었습니다. 남한의 대한무역진흥공사가 집계한 바에 의하면 이베이에 있는 북한 관련 물품의 총 개수는 1,300개 정도나 됩니다.
상당한 양인데요, 물건의 종류를 좀 소개해 주시죠?
북한 화폐나 우표가 가장 많은 편이었습니다. 한 가지 재미있는 것은, 조지 부시 미국대통령이 “악의 축”이라고 지칭한 북한, 이라크, 이란 등의 3개국과 아프가니스탄의 화폐를 한 세트로 모아 파는 것이었습니다. 뉴욕에 산다는 판매자가 제시한 가격은 8달러였습니다. 두루미와 꽃문양이 그려진 술병도 있었는데요, 이 같은 골동품의 숫자는 아주 적었습니다.
찰스 젠킨스 병장이 북한에서 만든 대외 선전영화에 출연했었다는 영화도 eBay에 올라와 있다죠?
북한군에게 주는 훈장도 이베이에서 거래가 되고 있다구요?
그렇습니다. 북한의 노력훈장, 영웅 메달 등이 20여점 정도 올라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공훈의 내용을 담은 수여증도 함께 올라와 있었습니다. 50년대 구소련에서 제작됐다는 훈장 3점에는 무려 90달러 정도의 가격이 매겨져 있었습니다.
이 훈장의 판매자는 이 훈장들은 뒷부분이 나사모양으로 된 희귀품이라고 소개했습니다. 그는 북한 당국이 훈장 등의 물품을 반출하는 것을 엄격하게 금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들 물품을 반출하다 적발될 경우 처벌이 엄중하기 때문에 이 훈장을 구하기가 아주 어려웠다고 덧붙였습니다.
40년 전 미군부대를 탈영해 북한으로 넘어갔던 찰스 젠킨스 병장이 북한에서 만든 대외 선전영화에 출연했었다는데, 그 영화도 이 인터넷 경매장에 올라와 있다죠?
그렇습니다. 젠킨스씨는 39년 동안 북한에 살다가 북일 정상회담 합의에 따라 작년 7월 일본으로 가서 아내 소가 히토미씨와 딸 두 명과 함께 살고 있는데 엊그제 미국 고향을 방문했습니다.
젠킨스 씨가 출연한 영화는 1980년대 초반, 북한에서 사상교육용과 대외선전용으로 만든 ‘이름 없는 영웅들’이란 영화입니다. 이 영화에서 그는 악독한 미국인 박사로 묘사되어 있습니다. 그 영화가 어떻게 외부로 유출됐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이베이 경매장에 올라 있습니다. 값은 30달러 였습니다.
북한의 물건들을 구하기가 어려웠을 것이라는 짐작은 가는데요, 그렇다면 이들 판매자들은 북한산 물건을 어떤 경로로 구하는지요?
제가 구하기가 힘들다는 북한 돈 5원, 50원, 100원 짜리 지폐 세트를 판매하는 판매자에게 전자우편을 보내서 질문을 해 봤습니다. 영국 런던에 거주하는 이 판매자는 일반적으로 영국이나 미국 혹은 중앙 유럽의 개인 수집가들로부터 직접 북한 화폐를 구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현재 판매하는 5원, 50원, 100원 권은 아시아에 있는 지인으로부터 대량 구입했다고 그는 말했습니다. 그는 본 화폐들은 유통이 안 된 것으로 수집가들이 특별히 좋아한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는 또 현재까지 한 60-70세트를 판매했는데, 구매자들이 아주 만족해하는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북한관련 물품들 가격은 주로 어느 정도로 책정이 되 있습니까?
1센트짜리 북한 기사가 담긴 잡지에서부터 1,000달러가 훨씬 넘는 북한 우표 모음집에 이르기까지 가격은 다양하게 책정이 되어 있습니다. 이들 물건들이 일단 책정된 가격으로 경매에 부쳐지면 최종 판매 가격은 상당히 올라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15일 남한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날 이베이에 등장한 북한 인민국 군복은 1달러가 채 못 되는 가격에서 출발했는데, 이날 밤 100달러를 호가 했습니다.
이진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