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지난 5월, 북한의 도, 시, 군급 책임간부들에게'자살을 방지하라'는 김정은 총비서의 비준지시가 비공개로 하달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한 내부소식, 김지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함경북도의 한 간부소식통은 지난달 27일, “(5월) 20일, 도당 위원회가 도, 시, 군 단위의 책임간부들을 대상으로 긴급회의를 소집했다”면서“이는 총비서(김정은)의‘자살을 방지할 데 대하여’비공개 비준지시를 신속히 전달하기 위한 회의”라고 자유아시아방송에 전했습니다.
자살방지와 관련한 김 총비서의 방침이 하달된것도 처음이고 자살방지를 위한 책임간부 회의가 진행된 것도 처음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소식통은 “도, 시, 군 당위원회 책임간부들로 긴급히 소집된 비상회의는 청진시 포항구역에 위치한 도당위원회 청사에서 열렸다”면서“회의는 엄중한 현 실태에 대한 총비서의 비공개 비준지시를 전달하고 자살방지를 위한 대책을 세웠다”고 지적했습니다.
소식통은 또 “자살방지 대책을 세우라는 총비서의 비준방침이 하달되면서 도처에서 얼마나 많은 자살사건이 발생하는지 알려지게 되었다”면서“도당에서 자살방지 회의가 열릴 줄 미처 예상하지 못한 일부 간부들은 불안한 표정을 감추지 못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소식통은 이어 “이날 비공개 회의에서 청진시와 경성군에 대한 집중토의가 있었다”면서“올해 경성군 중평리에서 14건, 박충리(박충로동자구)에서 11건에 이어 청진시 부령구역에서 10건의 자살사건이 발생한 것으로 집계되었는데 대부분 가족(동반)자살이었다”고 증언했습니다.
그러면서 “경성군 박충리(박충로동자구)와 청진시 부령구역의 자살사건에는 국가와 사회제도를 비판하는 유서도 공개돼 충격을 주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와 관련 양강도의 한 간부소식통도 지난달 27일“도내의 각 시, 군급 책임간부들을 대상으로 한 긴급회의가 23일 삼지연 시당위원회 청사에서 열렸다”면서“자살방지를 위한김정은 총비서의 비공개 비준방침을 하달하기 위한 비상회의였다”고 자유아시아방송에 전했습니다.
자살방지와 관련한 김 총비서의 방침이 하달된것도 처음이고 자살방지를 위한 책임간부 회의가 진행된 것도 처음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소식통은 “회의에는 혜산시와 삼지연시 당위원장과 각 군당책임 간부들이 전부 모였다”면서“회의에서는굶어죽는 문제보다 자살하는 문제가 사회적으로 미치는 영향이 더 크다는 점을 강조한 총비서(김정은)의 비공개 비준방침이 하달되었다”고 언급했습니다.
소식통은 “하지만 자살을 방지할 데 대한 총비서의 비준방침에도 간부들은 마땅한 해결책을 내놓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면서“자살의 대부분이 모진 가난과 굶주림에서 발생한 것으로서 현재는 누구도 대책출로를 제시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소식통은 또 “최근 혜산시에서 발생한 자살사건 중에 시신에서‘나는 이 나라에서 태어난 것을 후회합니다’라는 유서가 발견되어 보는 이들에게 큰 슬픔을 안겨주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백암군에서도 5월 중순 60대 부부가 자살한 사건이 있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번에 총비서가 하달한 비공개 비준자료에도‘각급 단위 간부들이 책임지고 주민들의 자살을 방지할 것’이라고 명시했다”면서“자살은 엄연한 사회적 도전이며 국가에 대한 반역이라는 점에서 책임간부들에게 연대적 책임을 물을 것임을 강조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지난달 31일 한국 국가정보원은 국회 정보위원회 업무보고를 통해 북한에서 "특히 최근 자살자가 지난해에 비해 40% 정도 증가했는데, 김정은은 이를 사회주의에 대한 반역 행위로 규정하며 방지대책 강구를 긴급 지시했다"고 밝혔습니다.
또 국정원은 북한 내 "민생고로 인한 내부적 불안 요인이 많이 비화하고 있다"며 "강력 범죄가 작년 동기 대비 100여건에서 300여건으로 3배 폭증했고, 물자 탈취를 노린 사제 폭탄 투척 등 대형화·조직화된 범죄도 발생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에디터 양성원, 웹팀 김상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