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에서 대북 지원 중단 목소리 높아져
2006.10.11
최근 북한의 핵실험 발표이후, 남한에서는 대북 지원을 중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실제로 남한 정부의 대북지원 쌀 선적이 보류됐으며, 대북사업을 하고 있는 남한 민간단체들의 지원이나 교류사업도 연기되거나 아예 중단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인도적 차원의 대북 지원은 계속돼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한완상 대한적십자사 총재는 11일 남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대북지원 중단이 불가피하다고 밝혔습니다. 한 총재는 대북 수해지원 물자 가운데 시멘트는 민감한 품목으로 지원을 중단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 당국으로 하여금 자신들이 선택한 핵실험 결과에 대해 합리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줘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실제로 북한 핵실험 여파로 동해항과 울산항에서 이뤄지던 시멘트, 쌀 등 대북 수해지원 물품의 선적 작업이 보류된 상태입니다. 서울시는 남북교류협력사업과 남북협력기금의 집행을 잠정 중단하기로 했습니다. 인천시도 그간 추진해온 문화, 체육 분야의 교류, 그리고 북한 수해복구 지원 등을 일단 중단하기로 했습니다.
금강산 관광이나 개성공단 등 남북경협사업을 중단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남한의 야당인 한나라당의 김형오 의원은 YTN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남북경협사업을 통해 북한으로 들어간 돈이 핵무기 제조에 쓰였을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김형오: 북한에 현물로 들어간 금액이 10조원이나 됩니다. 일부가 핵폭탄 만들고 미사일 만드는 데 사용되지 않았다고 하는 보장이 없습니다.
하지만 일부 단체들은 남북한 간의 정치적인 긴장을 풀 수 있는 것은 민간교류밖에 없다면서 북한에 대한 교류를 계속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우리겨레하나되기 전라북도 운동본부는 북한에 콩우유 재료와 교과서용 종이 보내기 등의 대북 지원을 계속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워싱턴-이진희
관련 기사
- 북한의 핵실험으로 개성공단 입주업체 포기 늘어
- 미국, 북한 핵실험 주장에 의구심 나타내
- 남한 정부 유엔제재안 찬성, 대북 군사적 제재 반대
- 일, 독자적인 대북 추가 경제제재 발동 방침
- 북한 핵실험 성공여부 논란 일어
- 유엔의 북한에 대한 제재 논의 시작
- 개성공단 입주업체 사업 중단 우려, 현대 금강산 사업 관광객 취소 늘어나
- 노 대통령 여야 지도부와 북한 핵 실험 관련 대책논의
- 북한 9일 오전 핵실험 강행
- 태국 외무부, "북한이 국제원자력기구의 원칙을 따라주기 원해"
- 러시아, 북한 핵실험 강력히 규탄
- 북한 핵실험에 대해 중국과 유럽연합 등 국제사회 일제히 비난에 나서
- 노대통령, "포용정책 이어가기 힘들다"
- 북핵실험, 남.북 경협 사업 등에 악영향
- 남한 정부,민간단체 대북 지원액 지난 95년부터 50억 달러
- 주한 외교관들 한 심포지엄에서 인권개선 필요성 강조
- 남북한, 김대중 전 남한 대통령 6월 하순 방북 합의
- 남 야당, 노 대통령 조건없는 정상회담 등 몽골 발언 반발
- “미, 남한의 대북지원 축소 요구” - 일 언론
- 남 통일부 “미 대북지원 축소 요구한 적 없다”
- 남한 국민 절반, 대북지원 현재 수준 적당하다
- 남한주민 절반가까이 대북지원 줄이기 원해
- 남한, 올 대북 지원 1조원 넘어
- USAID 처장 “미, 대북 개발지원 법적으로 불가”
- 남 통일장관, 대북 지원은 선투자 개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