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은 2005년 대북 식량지원 여부와 그 규모를 북한의 분배 투명성 보장 수준을 봐가며 결정할 방침이라고 에번스 리비어(Evans J. R. Revere) 미 국무부 동아태 담당 차관보 대리가 2일 밝혔습니다.
리비어 차관보 대리는 이 날 미 상원 외교위원회의 국무부 동아태 예산안 심의를 위한 청문회에서 올해 대북 식량원조 수준에 대해 아직 결정된 사항이 없다면서 이 같이 밝혔습니다. 그는 미국은 식량 분배 투명성과 이를 위한 감시활동과 관련해 북한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들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면서, 북한 당국이 지난해 말 세계식량계획이 투명성 감시를 위해 추가 요청한 현장 방문을 허용하지 않고, 과거 방문을 허락했던 10개 지역에 대한 접근도 거부함으로써 그 결과 세계식량계획이 이들 지역에 대한 식량배분을 중단한 사실을 지적했습니다.
리비어 차관보 대리는 미국은 대북 식량원조에 대한 결정은 북한 6자회담 등 정치적 요인들과는 연결시키지 않는다는 방침을 확인했습니다. 그는 원조 여부 결정은 식량 지원의 필요성 유무, 다른 지역에 대한 식량지원 필요성과의 우선순위 비교, 또 식량을 배급받는 주민들에 대한 접근 권과 분배 감시 수준 등 3가지 기준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대북 식량지원 여부와 규모 결정을 위해 북한에서 활동하고 있는 세계식량계획이나 민간단체들과 접촉하면서, 북한의 곡물 작황과 분배 상황, 세계식량계획의 지원요청에 대한 다른 나라들의 호응 여부, 또 식량 지원의 최적기 등에 대해 면밀히 살피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북한의 현재 식량 사정에 대해 리비어 차관보 대리는 지난해 작황이 과거에 비해 좋은 것으로 알려졌다면서, 심각하게 굶주렸던 90년대 중반과 후반과 비교했을 때 영양부족 문제를 제외하고는 사정이 많이 개선돼 대량 기아 시기는 지나갔다고 말했습니다.
이진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