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 산하 납치문제 전문간사회가 북한의 불법행위에 대한 대응책을 강화해 가기로 했습니다.
외무성, 경찰청 등 9개 부처로 구성된 납치문제 전문간사회가 총리관저에서 27일 회의를 열고 각 부처가 연대하여 일본의 금융기관 등에서 북한의 돈 세탁이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감시하는 활동을 강화해 가기로 결정했습니다. 27일 열린 회의에는 9개 부처이외에도 재무성, 금융청, 방위청 등 7개 부처가 처음으로 전문 간사회에 참석했습니다.
일본 정부는 마카오를 무대로 한 북한의 돈 세탁에 대한 미국의 금융제재조치를 지지하는 입장을 표명한 바 있는데 일 금융청은 일본의 금융기관에서도 유사한 불법행위가 자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조사하고 있으며, 불법행위가 발견될 경우 사법 당국에 고발할 방침입니다.
한편 아베 신조 관방장관은 27일 열린 중의원 납치문제 특별위원회에서 “북한이 성의 있는 대응을 하지 않으면 압력을 강화해 갈 것이며, 최종적인 압력은 경제제재”라고 밝혔습니다.
납치문제 전문간사회의 불법행위 단속 강화결정과 아베 관방장관의 대북압력 발언은 모두 2월 4일부터 열리는 북일 정부간 협의를 겨냥한 것으로 납치문제에 대한 북한의 양보를 끌어내기 위한 전략으로 보입니다. 일련의 움직임은 또 압력보다는 대화를 우선해야 한다는 일본 국내의 대북 융화파를 겨냥한 것으로도 볼 수 있는데, 고이즈미 총리가 27일 “정부 간 협의 결과를 낙관적으로 보고 있지 않다”고 말한 것처럼 5일간에 걸쳐 정부 간 협의가 진행된다 해도 가시적인 성과는 가의 없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채명석기자
관련 정보
- 북한, 달러 위조말라 -부시 대통령
- 미국 백악관, “북한, 6자회담 복귀할 징후 보여”
- 남 노무현 대통령, 대북 압박 미국에 동의 안 해
- 크레디 스위스 은행, 북한과 신규 거래 중단
- 미 대표단 남한에 북한 위폐문제 설명
- 북한, 중국 6자회담 수석대표 베이징서 회동
- “중국, 김정일 위원장에게 위폐 문제 해결 촉구”
- 미국, 북한, 중국 6자회담 수석대표 베이징서 회동
- 미국, “6자회담과 대북 금융제재는 별개”
- 미국, “북한 위폐, 돈세탁 문제는 협상대상 될 수 없어”
- 북한 평화적 핵 활동도 9.19 공동 성명의 정신 위배
- “북한의 달러화 위조는 분명한 사실” - 힐 차관보
- 북일 정부 간 협의, 24일과 25일 베이징에서 개최
- “북 불법행위에 미 은행 이용 가능성 경고” - 미 재무부
- 미 국무부 차관, 대량살상무기 확산 추가 금융제재 검토 중
- 일 정부, 특정 실종자 수사 체재 정비키로
- 아소 외무장관, 납치문제 해결 없이 북일 국교정상화 불가
- 일 아베 관방장관, 북일 국교정상화는 납치 해결이 전제
- 북-일 회담서 납치문제 논의
- "평양 공작원 촌에서 2명의 일본인 남성 목격했다“
- 북일 정부 간 협의 11월 3일 베이징에서 개최
- 북일 정부 간 협의, 11월 2일 베이징에서 재개 전망
- 한일 납북자 가족 일본서 송환 촉구 대회
- 조총련, 일 경시청 수사 항의
- 젠킨스, 북서 요코다 메구미 만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