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정부는 18일 북한이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에서 핵실험 준비를 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미국 언론의 보도에 대해 북한의 관련 움직임을 예의주시중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북한의 핵실험 징후에 대한 17일 미국 언론보도와 관련해 남한정부는 케이블 하역 등의 움직임이 포착됐는지 여부는 정보사항이기 때문에 확인해 줄 수 없다며 시인도 부인도 하지 않고 있습니다.
하지만 정부의 한 당국자는 폐쇄사회인 북한에서 이뤄지는 핵실험 활동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기가 매우 어렵고 관련 동향이 사실로 드러나기 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린 사례가 있음을 감안해 미국 언론이 보도한 케이블 하역 등의 움직임이 핵실험과 직접 관련이 있다고 단정 짓기 어렵다는 반응을 보였습니다.
이종석 통일부장관은 18일 국회 남북평화통일특위에 출석해 ‘핵 실험을 확인할 만한 분명한 정보를 갖고 있지 않다’면서 ‘정부는 가능성에 의해 많은 것들이 추정, 제기되지만 사실로 확인되는 것은 많지 않다’고 말했습니다.
이 장관은 또 최성 열린우리당 의원이 핵 실험이 남북관계와 한반도 평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묻자 ‘대담히 심각할 것’이라면서 ‘ABC 등의 보도와 관련 어떤 경우든 상당히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라는 우려를 표시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한편 고려대학교 유호열 교수는 북한의 핵실험을 단행할 경우 동북아 지역이나 한반도에는 핵무기를 통한 군사적 긴장이 고조될 것이라면서 ‘북한의 미사일 발사를 계기로 비교해보면 핵실험 가능성은 높다’고 강조했습니다.
유호열 교수: 핵실험을 할 가능성이 조금 더 커졌다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유호열 교수는 또한 만일 북한이 핵실험을 단행할 시 ‘유엔으로부터 강도 높은 제재와 함께 국제사회로부터 고립되고 경제회생은 더욱 더 어려울 것’ 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서울-이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