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청취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건강하게 삽시다. 이 시간 진행에 이진서입니다.
갑자기 몸의 일부 특히 얼굴 부위의 한곳에 경련 즉 떨림 현상을 보이면 놀라게 됩니다. 이때는 자기 의지로 멈추게 할 수 없고 반복적인 떨림이 이어집니다. 아무렇지도 않게 무시할 일은 아닌 듯 보입니다. 오늘은 일반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몸 떨림 증세에 대해 동의사 강유 선생님의 도움 말씀 듣겠습니다.
기자 : 병으로 오는 몸 떨림 증상은 여러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고 생각합니다. 가장 흔한 것이 감기에 걸렸을 때 오는 몸 떨림인데요. 이때 보이는 대표적인 증상은 어떤 것입니까?
강유 동의사 : 네. 감기에 걸렸다고 모두 몸이 떨리는 것은 아니고 독감에 걸려 열이 몹시 날 때 몸 떨림 증상이 나타납니다. 이때 체온은 섭씨 38도 이상이고 온 몸이 쑤시고 아프면서 구갈이 심하게 오고, 추위를 타는 것처럼 몸을 덜덜 떨면서 몸을 웅크립니다. 그리고 이불이나 담요를 덮어도 떨림이 진정되지 않습니다. 이렇게 열이 심하게 나고 전신통이 있으면서 몸이 떨리는 것은 병이 위중 할 때만 나타나는 증상으로 이때 제대로 치료하지 못하면 중독에 빠지면서 위급상황으로 됩니다.
기자 : 여름에도 이런 증상을 보이는 때가 있잖습니까?
강유 동의사 : 네, 여름에 갑자기 고열을 내면서 사지를 덜덜 떨 때가 있는데 이것은 열사병 때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열사병은 땡볕이 내리쬐는 정오에 머리를 가리지 않고 장시간 야외에서 활동하다 병들게 됩니다. 주로 노인과 혈압이 낮은 여성에게서 많이 발병합니다. 열사병에 걸렸을 때 손으로 머리를 짚어보면 손이 델 정도로 고열이 나면서 경련을 일으키듯이 몸이 떨립니다. 이상과 같이 겨울 독감이나 여름철 열사병 모두 몸에서 고열이 나면서 떨림 증상이 나타나는데 이것은 고열이 신경계를 자극해서 생기는 증상입니다.
기자 : 심하게 몸 떨림 증세를 보일 때 응급처치로는 무엇을 해야 할까요?
강유 동의사 : 네, 열을 내리게 하는 것이 제일 중요한데요. 독감과 열사병 두 사례 모두 따뜻한 물을 마시게 해서 속에 들어간 독기를 땀으로 내보내는 치료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열사병 때는 번열 때문에 환자가 더운물보다 찬물을 마시려 하지만 환자가 하자는 대로 해서는 안 됩니다. 반드시 더운물을 마시게 해서 땀이 나게 해야 열기와 독기가 땀과 함께 체외로 빠져나갈 수 있습니다. 그리고 진통제나 진정제를 내복하고 따뜻한 방에서 안정해야 재발하지 않고 완쾌될 수 있습니다.
기자 : 또 많이 보이는 것이 얼굴 부위에서 보이는 떨림입니다. 안면 부위 떨림은 어떤 병이 생겼을 때 나타나는 증상 입니까?
강유 동의사 : 네. 전신 떨림 외 제일 많이 보게 되는 것은 눈 밑이 떨리는 것입니다. 젊은이들을 제외하고 거의 대부분의 나이드신분들 중에는 눈 밑이 이상하게 떨린다 하면서 불안해서 찾아오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주로 한쪽 눈 밑이 떨리는데요. 대체로 안면마비를 앓으셨던 분과 혈압이 높은 사람그리고 신경쇠약이나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사람들에게서 이런 눈 밑 떨림 증상 나타나 납니다.
얼굴과 옆머리는 삼차신경이 관할 하는 구역입니다. 삼차신경이 다른 신경들 보다 많이 예민하고 자극을 쉽게 받는데요. 얼굴에 있는 신경들은 항상 주위 환경을 관찰하고 접수하고 반응하는 신경으로 몸에서 제일 많이 움직이게 됩니다. 이런 관계로 몸의 피로도 두통으로 나타나고 정신적인 자극도 삼차신경을 피로하게 해서 그것이 긴장을 일으키면서 떨림 증상으로 몸에 이상 신호를 주게 됩니다. 이렇게 얼굴에서 나타나는 떨림 증상에는 고혈압을 비롯한 여러 가지 질병의 전조증상으로 되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를 돌려야 합니다.
기자 : 이렇게 눈 밑이 떨릴 때 치료는 어떻게 해야 합니까?
강유 동의사 : 네. 눈 밑이 떨림은 보통 몸의 면역력이 떨어졌거나 스트레스를 많이 받거나 또는 정신적인 충격을 받으면 나타나게 됩니다. 이때는 침 치료가 효과적입니다. 우리 뇌는 좌우로 나누어서 기능적 역할을 합니다. 때문에 오른쪽 눈 밑이 떨릴 때는 왼쪽 손가락 끝에서 사혈침으로 사혈을 해 주면 효과적입니다. 사람은 왼쪽이 병들면 오른쪽 침혈을 사용하여 침 치료하는 것을 보고 이상하게 여기는데 한의에서는 오래 전부터 신경교차론을 인지하고 침 치료를 하여 왔습니다. 침 치료를 받으면서 무조건 안정하고 충분하게 휴식해야 눈 밑 떨림이 없어집니다.
기자 : 얼굴 부위 떨림 중에는 입술을 씰룩 거리는 분도 있잖습니까?
강유 동의사 : 네. 입술 떨림도 삼차신경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삼차신경은 세 가닥으로 뻗은 신경가지인데요. 한가지는 귀로, 다음 한가지는 눈으로 나머지 한가지는 입의 신경을 주관합니다. 안면마비가 오면 입이 삐뚤어지고 눈이 감기지 않고 귀에서 소리가 나는 것 모두 삼차신경에 병이 들어서 생기는 증상입니다. 삼차신경은 몸의 면역력이 떨어지면 발병하는데 이때 집에서 문턱을 베고 잠을 자거나 산에 갔다가 돌을 베고 잠깐 휴식해도 구안와사, 즉 안면마비가 올 수 있습니다.
삼차신경에 대상포진 바이러스가 침입하여 대상포진이 발병하는 것은 면역력이 떨어진 것과 함께 많이 사용하는 신경체에서 발생합니다. 장시간 눈에 피로를 주고 스트레스를 받아 머리 아픔이 지속적일 때 눈 밑 떨림과 입술 떨림 증상이 나타나면 삼차신경에 병이 생겼거나 발병하는 증상이라는 것을 알고 치료를 해야 합니다. 제일 간단히 할 수 있는 것은 침 치료 입니다. 그리고 스트레스를 받는 원인을 피하던지 없애고 몸 건강관리를 잘하여야 합니다. 지금은 시기적으로 대기질이 제일 건조할 때입니다. 몸에서 땀이 나게 목욕을 하여 혈액순환이 잘되게 해서 몸의 피로를 풀어주어야 합니다.
기자 : 그 밖에 몸 떨림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강유 동의사 : 네. 다음으로 몸 떨림 증상이 많이 나타나는 것은 알코올 중독에 의한 손 떨림입니다. 알코올 중독으로 손을 떠는 증상은 거의 모두 50대에서 나타나고 있습니다. 젊었을 때는 젊은 혈기에 술의 독성을 몸에서 잘 분해하였지만 나이가 들면서 간장에 독극 물질이 쌓이면서 해독기능이 떨어지면서 그것이 전신 신경에 영향을 주어 떨림이 나타나게 됩니다. 이렇게 떨림 증상이 나타나면 초기에 금주하면 그래도 괜찮지만 술을 마시면 상대적으로 손 떨림이 없어지기 때문에 술을 좀처럼 떼지 못합니다.
기자 : 그런데 손을 떨다가 술을 마시면 떨림이 없어진다고도 하는데요?
강유 동의사 : 네. 알코올 중독은 사람 몸의 신경을 위축시킵니다. 특히 말초신경을 위축시켜서 떨림 증상이 나타나는 것입니다. 이럴 때 술을 마시면 혈액순환이 잘되면서 위축되었던 신경이 풀리고 손 떨림 증상이 없어 집니다. 이렇게 술을 마시면 손떨림 증상이 없어지는 것은 알코올 중독증 환자에게 술이 체내에 남아있는 동안 잠시 나타나는 증상이고 간에는 그만큼 독성을 더해주게 됩니다.
파킨슨병으로 오는 손 떨림과 머리 떨림 증상은 술을 마시어 혈액순환이 잘되게 해도 떨림 증상이 경해지지 않습니다. 파킨슨 질병으로 앓는 사람은 도파민 부족으로 오는 떨림이기 때문에 술과는 무관하다는 말입니다. 오직 부족한 도파민을 보충해주어야 하는데 그런 약이 시중에는 없습니다.
민간요법으로는 벌침을 머리 침 혈인 백회혈과 풍지혈에 초기에 치료하여 효과 본 사례를 보았습니다.
기자 : 몸 떨림에 대해 정리를 해주시죠.
강유 동의사 : 네. 우리 몸에서의 떨림 증상이 나타나는 것은 병의 전조증상이므로 좀 있으면 낫겠지 해서는 안 됩니다. 특히 눈 밑이 떨리거나 입 모서리가 실룩거리는 것은 안면신경에 병이 생긴 징조라고 생각하고 즉시 따뜻한 손으로 얼굴을 비벼주거나 마사지 해야 합니다.
다음으로 몸 떨림 증상에서 중요한 것은 술을 과음하지 않는 것입니다. 술은 모든 병의 시초로 된다는 것을 우리는 알아야 합니다. 술에 취하여 추운 날 밖에 쓰러지면 저체온증으로 온몸이 병들게 됩니다.
기자 : 오늘 말씀 감사합니다.
강유 동의사 : 감사합니다. 여러분 안녕히 계십시오.
건강하게 삽시다. 오늘은 여러 가지 몸 떨림에 대해 전해드렸습니다. 지금까지 도움 말씀에 동의사 강유 선생님 진행에 저 이진서입니다.
참여자: 동의사 강유, 진행 이진서 에디터 , 웹팀 이경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