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첨단 기술과 북한의 IT] 세상 똑똑한 개인 비서, “챗GPT”

0:00 / 0:00

청취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여러분들을 세계의 첨단과학기술과 IT 발전 세계로 안내하는 북한에서 온 박사 김흥광입니다. 저번 시간부터 우리는 4회에 걸쳐 최근 들어 세상을 발칵 뒤집어 놓은 기적과도 같은 생성형 AI기술에 대하여 이야기를 이어나가고 있습니다.

오늘 시간에는 생성형 AI기술의 대표작인 챗GPT가 우리의 일상과 세상을 어떻게 변모시킬 수 있는지에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요즘 들어 저도 생성형 AI기술 특히 챗GPT에 대하여 많은 강의를 하고 있는데요. 사람들이 물어봅니다. 챗GPT를 딱 한마디로 말하면 뭐라고 하겠습니까? 좀 당혹스럽습니다.

한마디만 가지고는 다 얘기할 수 없는데요. 굳이 한마디로 표현하라면 챗GPT는 똑똑한 저의 개인비서라고 합니다. 그저 똑똑한 게 아니라 세계 일류의 대학을 졸업 하고 전 세계의 자료들을 마음대로 찾고 주무르는 초월적 능력을 가진 개인비서입니다. 그런데 이 비서에게는 보수를 주지 않아도 됩니다. 그리고 기계이다 보니 지지치도 않습니다.

물론 챗GPT의 능력은 비서의 능력을 초월하는 어마무시한 일들을 할 수 있지만 챗GPT가 그야말로 사람 친화적인 인공지능이어서 우리 일상에 정말로 도움이 되는 엄청한 일들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개인비서에 비유했습니다.

자, 그럼 저의 개인 비서인 챗GPT의 외관부터 살펴보겠습니다. 챗GPT가 어떻게 생겼는가 하면요. 검은색 혹은흰색 바탕에 가로로 길게 그려진 질문창이 있습니다. 저의 개인비서를 어떻게 호출하는가 하면요.

여러분들이 쓰는 광명과 같은 국가망 주소창과 흡사한 인터넷 주소창에 http://openai.com/ 입력하고 엔터를 치면 바로 챗GPT가 실행되고 질문창이 뜨게 됩니다.

이제부터 본격적으로 챗GPT에게 설명과 질문을 주고 답을 받는 방식으로 일을 시키게 됩니다. 즉 개인 비서의 인공지능으로 아주 품이 많이 들고 골치가 아파야만 얻을 수 있는 지적 생산물을 즉시적으로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구체적인 사용예를 한 가지 경험해 보겠습니다. 챗GPT와 대화하는 질문창에 이런 글로 작업지시를 주겠습니다. “1950년대 뉴욕을 배경으로 한 소설을 쓰고 싶어. 여자 주인공은 뮤지컬 배우가 되고 싶지 만 아직은 식당 종업원으로 일하고 있어. 자주 오디션을 보지만 계속 떨어져서 낙담하고 있는 상황이지. 그러던 어느 날 그녀에게 아주 신기한 사건이 생겨. 신기한 사건은 네가 상상해서 써줘.” 어처구니가 없지요? 컴퓨터보고 저를 대신해서 소설을 써 달라는 게 아닙니까?

그랬더니 잠시 후에 챗GPT화면에는 이런 결과가 나타났습니다. 제가 그대로 읽을께요. “주인공은 어느 날 그녀가 알고 있는 모든 곡들을 노래하는 아이를 만나게 된다. 그녀는 그 아이가 자신의 미래 모습이라는 것을 알게 되고, 그 아이는 그녀가 오디션에서 성공할 것이라는 것을 알려준다. 주인공은 그 아이의 조언을 따라 오디션에 재빨리 준비하고, 이번 에는 성공하게 된다. 그녀는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뮤지컬 배우가 되어 성공과 사랑에 가 득한 삶을 살게 된다.” 참 대단하죠?

실제로 저의 개인비서 챗GPT는 강의 제목만 주면 강의안도 만들어 주고, 어떤 대상과 목표를 주면 그에 대한 분석 보고서를 만들어 주고 또 친구나 형제들에게 문안 편지를 재밌고 써서 보내주고, 내가 핵심 줄거리만 주면 그걸로 소설도 척 써주고, 지어 이쁜 딸네미의 생일에 보낼 아름다운 시까지 척척 대신해서 멋지게 써주니 얼마나 편리하고, 무지무지 고맙겠습니까?

사람들의 매일매일 바쁜 업무에 파묻혀 지내면서 늘 마음에 담았던 소원이 아니었을까요?

인류의 이런 소원이 오늘날 꿈같이 실현되어 위에서 우리가 머리를 질끈 동이고 사색해서 만들어 내는 그런 지적 생산물을 척척 만들어 주는 세상 똑똑한 개인 비서를 공짜로 채용하게 되었는데 그것이 바로 챗GPT라는 것입니다.

생성형 AI를 활용해 그림을 그려주는 서비스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문장을 입력하면 그림을 그려 이미지로 만들어 주는 '미드저니( midjourney.com)'가 대표적입니다. 미드저니로 만들어진 그림 '스페이스 오페라 극장'이 2022년 8월 미국 '콜로라도 주립 박람회 미술대회' 디지털 아트 부문 1위를 수상해 큰 주목을 받았습니다.

아직 상용화 되지는 않았지만 현재 생성 AI 기술의 발전 속도와 대중의 관심을 보면 생성 AI 기술이 음악∙영상∙게임 등 다양한 콘텐츠 산업에서 양질의 결과물을 만들어 내는 것은 시간 문제일 것 같습니다.

여기까지 챗GPT의 다양한 장착기능을 말씀드렸지만 많은 청취자 여러분들이 챗GPT를 본적도 없고, 들은 적도 없으니 저의 설명만 듣고 그 위대함을 상상하기엔 역부족일 수도 있지만 여러분들이 세상이 미래로 태동하는 그 힘을 알기 위해 다음 방송을 또 기다려 주시기를 부탁드리면서 오늘 방송을 여기서 마치겠습니다.

지금까지 서울에서 김흥광이었습니다.

에디터 이진서, 웹팀 이경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