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물가] 로봇 ‘간병시대’와 북한의 실태

0:00 / 0:00

청취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최근 북한 물가와 해외 시세를 알아보는 ‘RFA 주간 프로그램-북한 물가’ 시간에 정영입니다. 오늘은 인간형 로봇이 노인들을 돌보는 시대가 된데 대해 전해드리겠습니다.

여러분, 로보트(로봇)가 인간을 돌본다는 말을 들어보셨습니까? 요즘 인간형 로봇이 노인들을 돌봐준다는 기사가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지금 세계적으로 인공지능 기술이 폭발적으로 발전하고 있는데, 그 가운데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한 로봇이 간병일을 대신하게 된다는 겁니다. 과거에는 로봇이 짜여진 프로그램대로만 움직였지만, 지금은 스스로 물도 떠오고, 사람도 일으켜 세우고, 옷도 개고, 빨래도 하는 시대로 변했습니다.

외국에서는 노인 돌보는 사람을 ‘간병인’이라고 부르는 데 해마다 비용이 올라 자녀들에게 부담이 되고 있습니다. 일본에서는 간병인의 하루 급여가 100달러(12만원) 수준이었지만, 코로나로 인해 인건비가 상승하면서300달러까지 올랐다고 AI 타임스가 전했습니다. 미국 워싱턴 디씨에서는 간병인의 한시간 급여는 20달러 수준입니다. 하루 8시간 일한다고 하면 160달러, 한달에 5천 달러를 간병인에게 지불해야 된다는 겁니다.

그런데 돈이 문제가 아닙니다. 간병인들이 환자를 자기 부모처럼 진심으로 돌봐줄 수 있는지, 또 보이지 않는 곳에서 학대를 하지 않는지 자녀들의 걱정거리가 한둘이 아닙니다. 어느 미국 일간지 신문에는 “한국어 쓰는 좋은 간병인 어디 없나요?”라는 광고란에 치매에 걸린 어머니를 24시간 돌봐줄 간병인을 찾는 글이 실리기도 했습니다. 환자를 24시간 돌봐야 한다면 간병인에게 지불해야 하는 급여는 한달에1만 달러가 넘습니다.

이처럼 외국에서는 부모를 돌볼 간병인을 찾는 게 큰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일본과 미국 등에서는 노인 돌봄이 로봇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로봇이 노인을 돌보게 되면 사람과 달리 화를 전혀 내지 않고 간병에만 집중하게 됩니다. 또한 무거운 것도 들 수 있고, 24시간 쉬지 않고 일할 수 있습니다. 미국 기술 기업인 테슬라는 옵티머스라고 하는 인간형 로봇을 개발하고 있는데,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 경영자는 “(로봇 한개당) 2만 달러 가격으로 3~5년 내에 양산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로봇이 간병을 대신하게 되면 훨씬 돈을 절약할 수 있고, 24시간 무제한 일 시킬 수 있어 각광을 받지만, 대신 간병직업이 줄어들어 ‘실업’이라는 위협이 뒤따르고 있습니다.

그러면 북한의 상황은 어떨까요?

전문가들에 따르면 북한도 이미 2003년에 ‘고령화사회’에 진입했고, 2020년부터 2030년 사이에는 ‘고령사회’로 될 전망입니다. 한국 전쟁을 겪고 난 뒤 북한에서는 한 가정에서 보통 3~5명의 자녀를 두었지만, 지금은 가구당 한명씩 두는 추세입니다. 그런데 그 자녀가 부모들을 돌보아야 하기 때문에 부담이 큽니다. 특히 북한은 유교 사상의 영향으로 ‘효도사상’을 강조합니다. 즉 아들이면 효자하고, 딸이면 효녀하는 것을 가풍으로 가르치고 있다는 것입니다.

함경북도 출신의 한 탈북민은 “북한에서는 자녀들이 나이든 부모님을 당연히 모셔야 한다고 여기고 있는데, 지금은 자식이 한둘이다보니 부모님 모시는 데 드는 비용이 만만치 않아 걱정을 많이 한다”고 말했습니다. 북한도 자녀들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서는 인간형 로봇 간병인이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인간형 로봇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인공지능형 반도체 칩이 필요합니다. 현재 인공지능 형 반도체 칩을 엔비디아라고 하는 회사가 제작하고 있는데, 전세계 굴지의 기업들이 인공지능 개발에 뛰어들면서 칩 부족 현상을 겪고 있습니다. 엔비디아의 대표적인 인공지능 반도체 칩인 H100 GPU는 개당 가격이 약 3만달러에 달합니다.

북한 대외선전매체인 ‘조선의 오늘’은 “평양교원대학에서는 로봇종합교육 방법을 창조했고 그것을 교육 실천에 적극 받아들이고 있다”며 소식을 전하기는 했지만, 로봇 개발에 필요한 반도체 칩 생산이나 해외에서 구매했다는 소식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다음은 국제 환율 및 주요 물가 시세입니다.

2월 22일 미국 외환시장( https://www.x-rates.com)에서 달러와 중국 위안화의 환율은 1대 7.19입니다. 달러대 유로화는 1대 0.92, 달러대 일본 엔화는 1대150엔입니다. 현재 달러대 한국 돈의 가치는 1대1,327원입니다.

다음은 금 시세입니다. 2월 22일 뉴욕상품거래소에서 순금 1트로이 온스(troy ounce)당 가격은, 즉 31.1그램은 2,021달러입니다. 한편 2월 22일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텍사스산 원유(WTI)는 1배럴(158.9리터)당 78.8달러, 중동산 두바이유는 81달러, 런던 ICE 선물거래소에서 북해산 브렌트유는 1배럴당 83.8달러입니다.

에디터 이진서, 웹팀 이경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