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10년 차이] 북한의 교통사고는 팔자소관?

서울-박소연 xallsl@rfa.org
2024.11.04
[우리는 10년 차이] 북한의 교통사고는 팔자소관? 중앙고속도로서 발생한 차량 4대 간 추돌사고 현장
/ 연합뉴스

안녕하세요함경북도 무산 출신으로 올해 남한 정착 10년 차인 박소연입니다

양강도 혜산 출신으로 이제 막 한국에 정착한 이해연입니다

 

10년 차이로 남한에 입국한 탈북민 선후배가 전해드리는 남한정착 이야기.

<우리는 10년 차이>

 

이해연 : 자동차 숫자로만 따져보면 남한은 평균적으로 한 가구당 차 한 대는 무조건 가지고 있다고 보시면 될 것 같아요.

박소연 : 저희도 식구가 두 명인데차가 두 대입니다남한의 인구는 5천만 명으로버스 자동차 다 합쳐서 이동 수단이 2,600만 대라고 합니다정착 초기에 드라마를 보는데 ‘아니 땅을 파도 휘발유가 1g도 안 나오는 나라에 무슨 차가 이렇게 많아'라는 대사를 듣고 놀랐어요처음에는 이렇게 차가 많은데 땅을 파면 당연히 휘발유가 나온다고 생각했거든요정착한 기간이 늘어나면서 휘발유를 전부 수입한다는 사실을 알게 됐습니다가지 많은 나무에 바람 잘 날 없다고 남한은 차가 많아서 예상치 못한 사고들이 자주 나는 것 같습니다.

이해연 : 자동차 사고 소식이 뉴스로도 많이 나오고 직접 자동차 사고를 당했잖아요그래서 1년에 사고가 얼마나 발생하나 최근 통계를 찾아봤더니, 19만 건 정도가 나왔습니다그런데 생각보다는 많지 않죠?

박소연 : 그렇죠자동차 숫자에 비하면요남한에는 1973년부터 교통사고 통계가 나와 있어요그 해 1년 동안의 교통사고가 4 3천 건인데 가장 최근인 2022년에는 19만 건이고 사망자 수는 1973년에 2천 명, 50년 세월이 흐른 2022년에는 사망자 수가 3천 명입니다교통사고는 증가했지만 사망자 수는 생각보다 높지 않습니다그만큼 차 사고로 생명을 보호할 수 있는 환경이나 교육이 과거에 비해 많이 좋아지고 있다는 얘기죠.

이해연 : 사망자 숫자가 늘지 않은 데는 여러 가지 요인이 있겠지만 무엇보다 안전띠를 운전자뿐만 아니라 조수석과 뒷좌석까지 다 착용하도록 하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사고 발생 시 응급 대처도 예전보다 빨라졌고 고속도로 중간에 졸음 쉼터 등이 생기면서 자동차 사고를 많이 줄일 수 있었어요

 

박소연 : 지금은 안전띠를 착용 안 해서 사망했다는 뉴스들을 거의 찾아볼 수가 없어요.

이해연 : 맞아요북한 차에는 안전띠를 잘라서 흔적만 남은 경우가 많지만 남한은 법적으로 안전띠를 안 하면 벌금을 내야 합니다그리고 이제 습관이 돼서 안전띠를 착용 안 하면 불안해져요그리고 안전띠를 착용하지 않고 운전하려고 해도 자동차 내부의 자동 시스템이 감지하고 시끄러운 경보음을 계속 울려요지금은 자신의 안전을 위해 안전띠를 착용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생활 문화가 된 것 같습니다

 

박소연 : 그리고 아까 해연 씨가 졸음쉼터 얘기하셨는데요남한은 고속도로에 휴게소도 많고 중간중간에 졸음쉼터가 잘 마련돼 있어요졸음쉼터는 장거리 운전으로 피곤한 사람들이 잠시 눈 붙이고 쉬어갈 수 있는 공간을 말하는데요고속도를 달리다 보면 몇 km 가면 졸음쉼터가 있다는 안내 간판들을 종종 볼 수 있어요화장실지어 운동 기구까지 준비돼 있죠그걸 보면서 남한은 정말 사고를 줄일 수 있는 시설들이 잘 마련되어 있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이해연 : 고속도로에서 사고 중 많은 비율이 졸음운전이라고 해요그래서 중간마다 휴게소도 있지만 이런 쉼터도 만든 것이라고 합니다.


박소연 : 특히 사망자가 많은 음주 운전에 대한 단속은 도로 곳곳에서 예고 없이 불시에 진행돼요경찰들이 음주측정기를 통해 음주 운전자를 적발하고 있는데 남한은 적발되면 사정해서 해결되는 게 아니거든요지위를 막론하고 누구든지 법대로 처리하기 때문에 의식하고 조심하며 잘 지키는 거죠또 요즘 남한에서는 고령자 운전 교통사고가 큰 화두입니다고령자 운전에 대해 사고 예방을 위해 운전할 수 있는 나이를 국가가 제한해야 한다는 의견과 그런 제한이 나이에 대한 차별이라 인권 침해라는 반대로 논란이 계속되고 있죠.

이해연 : 남한에는 택시들도 많은데 대부분 고령자로 은퇴하고 택시 운전기사로 일하는 분들이 많더라고요그분들 입장에서는 당연히 나이 제한을 두면 안 된다고 하겠죠반면 젊은 세대들은 사고를 막기 위해서는 운전자 연령을 제한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박소연 : 그런데 해연 씨남한에서 고령자라면 몇 살 정도일까요?

이해연 : 70대 정도를 고령자로 부르는 것 같습니다.

박소연 : 북한에는 환갑이면 인생을 다 산 것으로 생각하고 고령자로 구분하죠남한은 70대 중반이 정도를 고령자 운전으로 보는 것 같습니다개인적으로는 고령자 운전기사 교통사고 때문에 인명피해가 났다는 뉴스를 보면 솔직히 겁이 납니다그렇다고 제 생각을 함부로 얘기할 수 없어요북한에 살 때 남한은 자유민주주의 국가이기 때문에 누구 눈치도 보지 않고 개인의 생각을 마음대로 말할 수 있다고 생각했지만 막상 남한에서 살아보니 더 눈치를 보는 것 같아요. (웃음왜냐면 상대방의 입장도 존중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해연 : 교통사고 얘기를 하면서 갑자기 남한과 북한의 사고 유형이나 원인이 많이 다른 것 같다는 생각도 했어요남한 같은 경우에는 차가 많아서 추돌사고가 많은 것 같아요.

박소연 : 북한에서는 충돌이라고 하죠.

이해연 : 거의 비슷한 말이긴 한데 조금 다릅니다추돌은 뒤에서 받는 것이고충돌은 서로 맞부딪히는 거죠남한은 추돌사고가 주로 일어나지만북한 같은 경우에는 차가 많지 않고 도로 사정이 안 좋아서 일어나는 단독 사고가 잦습니다북한은 또 벼랑길이 되게 많아요그냥 벼랑으로 미끄러져 전복 사고가 많죠이런 면에서 북한은 사고가 나면 대형 사고가 될 가능성이 큽니다더군다나 항상 적재함에 짐도 가득 싣고사람을 엄청 많이 태우고 다니잖아요거기에 농촌 길은 눈이 내리면 길이 미끄럽고 밤길에 운전하다 피곤해서 졸기라도 하면 큰 사고로 이어지는 게 다반사입니다.

박소연 : 해연 씨 얘기를 들으니까 10년 전하고 똑같네요제가 있을 때도 가을에 사고가 제일 자주 났어요특히 10월과 11월은 가을걷이 시기라 사람들이 농촌에 배추 실으러 많이 가요물론 봄이나 여름겨울에도 사고가 나지만 가을이 훨씬 운행이 빈번하기 때문이죠해연 씨 그거 아셨어요남한에서는 적재함에 사람이 타면 불법이라는 것걸리면 벌금을 내야 해요북한에는 자동차 적재함이 상급 침대잖아요.

이해연 : 옛날에 북한에는 ‘빈 차 감독원이라는 게 있었어요물론 최근에는 없어졌지만요.

박소연 : 생각나요옛날에는 지역마다 ‘빈 차 감독 사업소가 있어서 혹여 빈 차로 지나가면 단속해 자갈이나 모래를 싣고 가도록 벌칙을 줬어요그때는 자동차 적재함에 사람이 아니라 짐을 싣고 다니도록 통제했어요.

이해연 : 국가 휘발유를 헛되이 뿌리면서 다니지 말고 뭐라도 꼭 싣고 운행해야 한다는 거죠.

박소연 : 북한은 사고가 나도 정확한 인명피해에 대해 전혀 공개하지 않아요보통은 자동차 전복 사고가 가장 많습니다해연 씨가 말한 것처럼 농장길에 들어가면 벼랑으로 떨어지는 것을 막아주는 벽이 없어요옛날에는 철판으로 세웠는데 고난의 행군 때 다 뜯어다 중국에다 몰래 팔아서나중에는 나무판자로 막았는데 그것도 뽑아서 땔감으로 써서 지금은 아예 없는 거예요설사 살아났다고 해도 장애인이 되는 거죠북한에서 장애인으로 산다는 건 너무 가혹해서사람들은 장애인으로 사느니 차라리 죽는 게 낫다고까지 말할 정돕니다.

이해연 : 사고로 죽거나 폐인이 돼도 북한에서는 아무런 보상이 없잖아요법으로 정해진 것도 없고요운전기사 한 명이 죽은 사람이나 다친 사람들에게 보상해 줄 만한 돈도 없고요그렇다고 누가 대신해 줄 수도 없어요차에 탄 내가 잘못인 거죠사고가 나도 본인 탓으로 돌리고 팔자려니 하면서 그냥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거죠.

박소연 : 북한에도 교통법이 있긴 있어요차 사고가 났을 경우운전기사가 과실에 대해 징역형이란 처벌 조항은 있어도 보상에 관한 조항은 없죠.

이해연 : 사고가 나도 신속히 대처할 수 있는 대책이 없어서 더 안타까운 것 같아요차가 뒤집히고 사람들이 사망해도 아무런 조치도 할 수 없고운전자는 겁이 나니까 달아나는 일도 있죠북한은 CCTV도 없어서 뺑소니 사고에도 속수무책입니다.


박소연 : 남한에선 뺑소니치면 가중처벌이 돼요저는 이번에 사고를 당하면서 두 가지 생각이 들었어요추석을 앞두고 사고가 났기 때문에 하늘나라에 계시는 아버님이 벌을 내렸다는 생각이 들었고두 번째로는 12년 동안 남한에 살면서 은행에 저축한 것과 보험 든 돈들이 있는데이 모든 것들을 아들한테 알려줘야 하는데 내가 죽은 다음에 우리 아들이 못 받게 되면 어떡하나 하는 걱정이 앞섰습니다해연 씨는 어떤 생각이 들었어요?

이해연 : 저는 뭐… 결국 나에게도 이런 일이 생기는구나그리고 운전한 지 얼마 되지도 않았는데 너무 빨리 당한 것 아닌가 라는 생각을 했어요.(웃음)

박소연 : 같은 사고를 당했는데도 생각하는 건 완전 하늘과 땅이네요그래도 이렇게 살아서 얼굴 맞대고 방송할 수 있어서 정말 다행이라고 생각합니다북한도 10월과 11월은 사고 방지 대책 월간이지만 간판만 걸면 뭘 해요그에 따른 실질적인 지원이 따라야죠청취자 여러분들은 국가가 내 건 구호만 믿지 말고 항상 주변을 살피면서 안전하고 건강한 가을 보내시기를 바라면서 오늘 방송을 마무리할까 합니다

 

지금까지 탈북 선후배가 나누는 남한 정착이야기 <우리는 10년 차이진행에 박소연이해연제작에 서울 지국이었습니다

 

에디터 이현주웹편집 

댓글 달기

아래 양식으로 댓글을 작성해 주십시오. Comments are moder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