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윤석열 한국 대통령이 오는 19~21일 일본에서 열리는 G7, 주요 7개국 정상회의에 참석합니다. 이를 계기로 한미일 정상회담도 열립니다. 서울에서 홍승욱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 대통령실은 윤석열 대통령이 오는 19~21일 일본 히로시마에서 열리는 G7, 즉 주요 7개국 정상회의에 참석한다고 밝혔습니다.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의 말입니다.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 G7 회의는 G7 회원국만 참여하는 회의와 초청국이나 초청 국제기구까지 참여하는 확대회의로 나뉘는데, 윤 대통령은 다양한 세계적 의제를 주제로 한 확대회의에 참석해서 발언을 할 예정입니다
이에 따르면 한국 대통령이 G7 정상회의에 직접 참석하는 것은 이번이 네 번째로, 미국·일본 등 핵심 우방과의 관계를 강화하고 신뢰를 구축한 양자 외교를 다자 외교의 장으로 확장하려는 시도입니다.
윤 대통령은 2박 3일 일정으로 일본에 머무는 동안 G7 정상회의 회원국, 그리고 이번 회의 초청국 정상들과 여러 차례의 양자 회담을 갖습니다.
회의 후반기에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한미일 정상회담을 개최할 예정입니다.
한국 대통령실은 이번 3국 정상회담이 지난해 11월 캄보디아(캄보쟈) 프놈펜에 이어 세 번째로 열리는 것이라며, 의제와 관련해선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 등 공동 위기 대응 방안을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그간 더욱 단단해진 한미, 한일 양자 관계를 기반으로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 역내 공급망 불안정, 에너지 위기 등 공동의 도전에 대응하여 한미일 협력을 한 단계 더 진화시키기 위한 전략적 공조 방안이 논의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한미일 정상이 북한 미사일 경보 정보에 대한 새로운 합의 사항을 도출하는 것보다는 조율 내용을 각자 발표하는 형식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한미일 안보 협의체 등에 대한 공동 발표도 예정돼 있지 않다고 전했습니다.
일본 측도 이번 회의를 계기로 열리는 한미일 정상회담에서 북한 도발에 대한 3국 간 안보 협력 방안을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마쓰노 히로카즈 일본 관방장관의 말입니다.
마쓰노 히로카즈 일본 관방장관 :북한의 도발 행위가 지속되는 등 지역의 안보 환경이 한층 엄중해지는 상황에서 한미일 안보 협력 등을 통한 억지력과 대처 능력 강화는 중요합니다.
G7 정상회의를 계기로 열릴 미국·일본 간 양자 정상회담에선 중국과 러시아에 대한 대응책이 협의될 전망입니다.
이런 가운데 김건 한국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15일 일본에서 열린 ‘뮌헨안보회의 리더스 회의’(Munich Leaders Meeting) 내 ‘인도·태평양 지역 핵 우려’를 주제로 한 토론회에서 북한이 핵 위협을 통해 국제사회로부터 인정받고, 입맛대로 지역 국가들과의 관계를 설정하려는 것은 헛된 꿈이라고 비판했습니다.
한국 외교부에 따르면 김 본부장은 21세기 들어 유일하게 핵실험을 실시한 국가인 북한이 세계에서 가장 공세적이고 자의적인 핵 교리를 표방하고 있다며, 북한의 이 같은 행동을 묵인한다면 국제 평화와 안정을 심각하게 저해할 것이라고 우려했습니다.
이어 북한의 핵 위협은 억제하고, 핵 개발은 단념 시키며 대화와 외교를 통해 북한 비핵화를 달성한다는 한국 정부의 대응 방안을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국제사회가 경각심을 갖고 해외 노동자 파견, 불법 사이버 활동 등을 통한 북한의 외화벌이를 차단하기 위해 적극 공조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기자 홍승욱, 에디터 오중석,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