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당국이 선전매체를 통해 소개하는 북한의 모습에는 웅장함과 화려함만이 가득합니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감추고 싶은 북한의 참모습이 있습니다. RFA, 자유아시아방송은 '2분 영상, 북한을 보다'시간에서 실제로 북한에서 촬영한 동영상을 통해 그동안 공개되지 않았던 오늘날 북한의 실상을 꼬집어봅니다.
- 막대한 투자와 엄청난 규모를 자랑한 비날론 공장
- 뼈대만 남은 건물, 논과 옥수수밭으로 변한 부지
- 위성사진에서도 공장의 흔적만이 있을 뿐
- 북한식 사회주의 경제 실패의 상징
- 북한 주민에게 부담만 안긴 비날론, 허구로 밝혀져
일본의 언론매체인 '아시아프레스'가 2009년 7월에 촬영한 평안남도 순천의 비날론․비료공장지대의 모습입니다. 동영상에는 '순천', '비날론비료구역'이라는 표지판이 보이는데요,
순천비날론공장은 1983년 고 김일성 국가주석이 연간 10만 톤의 비날론을 생산할 수 있도록 건설하라고 지시해 약 100억 달러를 투자한 북한 최대의 석탄․화학 공장지대입니다.
당시 김일성 주석은 북한에 풍부한 석탄을 원료로 외국에 의존하지 않고 북한의 에너지와 기술, 노동력으로 화학 산업을 발전시키는 '자력갱생'을 강조했는데요, '아시아프레스'에 따르면 순천비날론공장은 일반 야구장 467개를 합친 만큼 엄청난 규모를 자랑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동영상에 비친 순천비날론공장은 규모를 무색케 할 만큼 폐허가 됐습니다. 공장 앞 부지는 논과 밭으로 쓰이고 있고, 뼈대와 외벽만 남은 건물 앞 부지는 옥수수밭으로 전용됐습니다.
각 구역을 연결하는 컨베이어 벨트는 이미 오래전부터 가동한 적이 없는 듯 녹이 슬어있고, 건물 안에는 제대로 된 장비 하나 남아있는 않은 모습인데요, 분위기마저 을씨년스럽기까지 합니다. '아시아프레스'와 탈북자들에 따르면 공장에 설치된 기계 대부분은 뒤로 빼돌려졌고, 유리창과 건축 자재, 지붕 등도 근로자와 인근 주민이 가져가 버렸습니다.
가동이 멈춘 파이프라인도 엄청난 규모를 자랑하지만, 그 아래에서 북한 주민이 김매기를 하고 있고, 공장지대의 빈 땅은 이미 옥수수밭이 됐습니다.

순천의 '비날론연합기업소'는 북한 최대의 석탄․화학 공장지대이지만, 대부분 북한 주민은 이 곳을 북한식 사회주의 민족자립경제노선에 대한 실패의 상징으로 여기고 있는데요, 동영상을 촬영한 '아시아프레스'의 기자가 북한 주민에게 "순천 비날론 공장이 어디냐?'고 묻자 북한 주민은 "여기부터 저기까지 다 비날론 공장인데, 무슨 구역인지 알아야..."라며 큰 관심을 두지 않는 모습입니다.
아시아프레스 오사카 사무소의 이시마루 지로 대표의 설명입니다.
[Ishimaru Jiro] '우리의 원료와 기술, 노동력으로 훌륭하고 현대적인 산업을 만들자'는 목적으로 시작한 석탄화학 연합기업소인데, 엄청나게 많은 투자를 했습니다. 그런데 많은 탈북자에 따르면 결과적으로 순천비날론공장은 거의 하나도 가동하지 못했습니다. 그 실상을 처음으로 (아시아프레스)의 북한 내부 기자가 촬영했는데요, (순천비날론공장은) 북한 경제의 마비, 아주 독선적이고 경제의 합리성을 생각지 않은 이데올로기 우선 경제 정책에 대한 실패의 상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2011년, 북한은 함경남도 함흥시에 있는 2.8 비날론 공장을 16년 만에 재가동했다며 대대적으로 선전한 바 있습니다. 이는 '인공위성을 몇 개나 쏘아 올린 것과 같은 놀라운 소식'이라고 소개했는데요, 비날론은 1939년, 나일론에 이어 세계 2번째로 개발된 화학섬유로 마찰이나 약품에 강해 산업용 재료로 쓰이고 있으며 북한에서는 60~70년대에 '주체섬유'로 큰 대접을 받았지만 옷의 재료로 쓰기에는 빳빳해서 작업복에나 사용되는 정도입니다.
실제로 자유아시아방송(RFA)의 확인 결과 북한 주민은 비날론을 걸레로 사용하거나 도배용 풀로 만들어 쓰고 있습니다.
또 '순천 비날론연합기업소'는 비날론 생산이 석탄과 석회를 주원료로 하기 때문에 석탄 화력 발전소와 카바이드, 화학 비료 생산 등 관련 공장을 하나의 기업체에 집약시킨 것인데요, 원료공급과 생산, 수용을 원활히 시행할 수 있다는 점이 강조됐지만, 실제로는 덩치가 너무 커져 버려 하나의 공장 가동률이 떨어지면 다른 공장까지 악영향을 미치는 등 효율성이 극히 떨어집니다.
결국, 순천비날론공장은 막대한 자본과 노동력을 투입하고도 제대로 가동도 못 해보고 방치돼 버렸는데요, 공장 앞에 쓰인 '자력갱생', '장군님 따라 천만리'란 말도 허공의 메아리가 됐습니다.
동영상에서 공장지대 입구는 여성 적위대원이 지키고 있습니다. 기자가 "들어가면 안 되냐?"고 묻자, 적위대원은 "안에 있는 사람의 사정은 잘 모른다"고 대답합니다. 공장 부지 안에는 간부들의 주택이 있는 듯합니다.
- 들어가면 안 되나?
[적위대원] 안에 있는 사람의 사정은 잘 모릅니다.
자유아시아방송은 동영상이 촬영된 2009년 당시, 인공위성이 촬영한 '순천 비날론연합기업소'의 사진도 살펴봤습니다. (관련 기사) 2009년 5월에 촬영한 사진을 2004년의 모습과 비교해봤는데요, 2009년의 공장 부지에는 아무것도 남지 않았습니다.
건물이 사라지고, 철제 구조물도 모두 뜯긴 이곳은 공장이 있던 흔적만이 남아 있을 뿐입니다. 미국의 위성사진 전문가인 커티스 멜빈 미 존스홉킨스대 한미연구소 연구원도 2006년의 위성사진에서 이미 '순천 비날론연합기업소'가 많이 해체됐지만 2009년도 사진에는 전보다 더 진행된 모습이라고 분석했는데요,
북한에서 비날론을 생산하려면 석탄과 전력이 많이 필요한 데다 다른 섬유와 경쟁력에서도 크게 떨어지기 때문에 전력과 기반시설이 열악한 북한의 실정을 고려하면 '순천 비날론연합기업소'의 실패는 당연하다는 게 탈북자와 전문가들의 지적입니다.
비날론뿐만 아니라 시멘트, 비료 공장 등으로 구성돼 위성사진 상에서도 엄청난 규모를 자랑했던 '순천 비날론연합기업소'는 무참히 폐허가 되어 버렸습니다. 당시 투입했던 막대한 인력과 건설비용은 모두 북한 주민이 떠안았고요, 북한이 자랑해 온 비날론 산업은 허구가 됐는데요,
북한식 사회주의 실패의 상징이 된 '순천비날론공장' 2014년 현재, 공장이 복구돼 가동을 다시 시작했다는 소식은 없습니다.
※ '아시아프레스'에 따르면 '순천비날론연합기업소'의 실상은 '아시아프레스'가 2009년 7월 세계 최초로 촬영하는 데 성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