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제재 속 인권 압박 더 강화해야”

앵커: 일본의 북한인권주간이 개막된 가운데 10일 도쿄에서는 일본인 납치 문제와 관련해 국제심포지엄이 열렸습니다. 참석자들은 "유엔의 대북제재 속에서 북한 인권도 더 강하게 압박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도쿄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일본 법무성 산하 납치문제대책본부는 매년 12월 둘째주를 북한인권주간으로 정하고 일본인 납치 문제의 해결에 노력해왔습니다. 올해는 10일 도쿄에서 국제심포지엄을 열었습니다. 이날 심포지엄에서는 국제사회의 인권 압박과 미국, 일본, 한국의 연대 강화에 대해 깊은 있는 논의가 이뤄졌습니다.

가토 가츠노부 납치문제대책본부 담당대신은 심포지엄 축사에서 "국제사회가 북한에 책임을 추궁해야 북한 인권이 개선될 수 있다"며 "이는 대북제재의 효과와도 연결된다"고 말했습니다. 가토 담당대신은 또 "일본과 한국이 공동으로 대응하는 게 중요하다"며 "같은 피해 국가로서 양국이 공동으로 진행하면 훨씬 더 효과적일 것"이라고 조언했습니다.

가토: 납치 문제는 아베 정권의 가장 중요한 일이며 동시에 정부의 책임 아래 최우선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라고 인식하고 이 문제에 대응해왔습니다.

심포지엄은 히로시 토시야 오사카 대학교수의 사회로 진행됐습니다. 참석자들은 "북한의 인권개선을 지속적으로 압박해야 한다"며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토론자로 나선 이정훈 한국 외교부 인권대사는 북한 인권 상황 개선을 위한 한일 협력의 중요성과 중국의 역할을 강조했습니다.

이정훈 한국 외교부 인권대사: 중국이 진정 G2 국가로서 인정을 받으려면 대국다운 면모를 국제사회에 보여줘야 합니다. 그것의 시작은 대북 인권 정책에서 비롯됐다고 생각합니다.

북한 외교관 출신인 탈북자 현성일 씨는 국제사회의 인권 압박에 대한 북한의 대응 전략을 설명했습니다. 현 씨는 "최근 인권 개선을 요구하는 국제사회의 촉구에 북한 외교관들도 마음의 동요가 생길 수밖에 없다"고 전했습니다.

현성일 전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수석연구위원: 이러한 상황은 실현 가능성을 떠 김정은과 북한의 대외적 권위와 명예를 훼손하거나 실추시키고 있습니다. 또 해외에 나와 있는 외교관과 외화벌이 일꾼, 유학생, 근로자들의 충성심과 자부심, 사명감과 의욕을 크게 저하시키고 있습니다.

그런가 하면 타렉 체니티 서울 유엔북한인권사무소 부소장은 "탈북자들을 대상으로 북한의 인권 유린 실태를 계속 조사하고 있다"며 "가해자 책임성 규명 등의 임무를 수행하는 데 중요한 자료들을 모았다"고 말했습니다.

또 노구치 모투 ICC 피해자기금이사장은 "국제사회가 북한의 '반인도 범죄'에 대해 책임을 물어야 할 때"라며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의 국제형사재판소(ICC) 회부를 국제사회에 촉구했습니다.

노구치 이사장: 납치 피해자는 일본인과 한국인뿐만 아니라 ICC 가입국을 포함한 다른 나라 국민들도 해당된다고 봅니다. 납치 문제는 국가적 정책에 따른 일련의 조직적인 범죄로서 장기간에 걸쳐 여러 나라에서 자행되었던 범죄입니다.

심포지엄을 보기 위해 참석한 일본인 납북자 피해가족 테라코시 씨는 가족의 귀국을 애타게 기다리고 있는 심정을 전하며 "납치문제가 국제사회 전체의 문제라는 사실을 인식해야 한다"고 호소했습니다.

테라코시 납치피해가족: 1963년 아버지와 삼촌, 사촌이 북한에 의해 납치됐습니다. 아버지는 총살됐고 저와 동갑인 사촌은 살아있다고 들었습니다.

심포지엄이 끝난 뒤 '고향의 바람'이라는 제목의 작은 음악회도 열렸습니다. 모든 참석자와 납북자 가족들은 노래 고향을 부르면서 납북자들의 무사 귀한을 기원했습니다.

한편 일본 대북방송 '고향의 바람'은 이날 3시간 동안 진행된 심포지엄을 단파 라디오로 북한에 생방송으로 송출했습니다. '고향의 바람'은 일본 법무성 산하 '납치문제대책본부'의 지원으로 운영되며 납북된 일본인 피해자들을 위한 대북방송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