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자 5명 벨기에서 난민으로 거주
2006.01.06
유럽 북서부의 작은 나라 벨기에에서 탈북자 5명이 난민 판정을 받고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벨기에 브뤼셀 주재 남한 대사관 관계자는 6일 이 같을 사실을 확인하면서 정확한 상황을 파악 중이라고 말했습니다.
벨기에의 수도 브뤼셀 주재 남한 대사관 관계자는 6일 자유아시아방송과의 전화통화에서 5명의 탈북자가 거주하고 있다는 사실을 최근 알았으며 현재 정확한 탈북자 거주 상황을 파악 중에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 관계자는 지난 99년 1명의 탈북자를 시작으로 지난 2003년과 2004년 각각 1명씩, 그리고 지난해 2명 등 모두 5명의 탈북자가 벨기에 정부로부터 난민지위를 받아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현재 파악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이어 지난해 9월 탈북자라고 주장하는 사람의 전화를 받기는 했지만 당시 신원파악이 어려웠고 전화가 끊어져 남한 대사관에서 도움을 줄 수 없었다고 말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벨기에 이민당국 난민위원회에서 탈북자를 포함한 한인들의 통역을 맡고 있는 벨기에 거주 한인 원용서 씨는 6일 자유아시아방송과의 전화통화에서 지난 99년 이후 모두 5명의 탈북자가 벨기에 정부로부터 정치적 난민으로 판정받아 주로 브뤼셀에 거주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그는 벨기에 정부가 탈북자를 받아들이는 데 가장 큰 문제는 탈북자와 중국 국적의 조선족을 구별하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원용서: 벨기에 정부 문제는 조선족과 이북 사람을 구별하는 것이다. 과거 조선족이 북한 사람이라고 한 경우가 많았다.
또한 원용서 씨는 벨기에에 도착한 탈북자들이 난민수용소에서 생활하며 한 달 정도 난민지위 심사를 거쳐 정치적 난민으로 판정되면 1개월짜리 임시 체류허가증을 받는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이렇게 난민으로 인정받은 탈북자들은 몇 달 뒤에는 매년 갱신이 필요한 영주권을 받게 되며, 이렇게 되면 벨기에 정부는 자국민 실업자들에게 지급하는 매달 625유로, 미화로 760달러 상당의 보조금을 미취업 탈북자들에게도 지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양성원기자
관련 기사
- 미국제종교자유위원회, 탈북자 제 3국 재정착 신속해결촉구
- 멕시코 도착 탈북자, 미 대사관에 망명신청 추진 중
- “40대 탈북자, 멕시코 국경도시에서 미국 망명 준비중”- 탈북자 동지회
- 지난해 미국 망명신청 북한인 없다 -미 국무부 보고서
- 탈북여성 22일 방콕 유엔난민관리와 면담
- 미 정부, 탈북자 미 망명 신청 돕는 방안 마련 검토
- 망명신청 항소 탈북자 항소 포기
- 베트남 주재 태국 대사관 진입 탈북자 7명 전원 남한행
- 태국주재 한국대사관에 탈북자들 50여명대기
- 브라운백 의원, 유엔에 중국 내 탈북자 즉각적 보호 조치 촉구
- 미국 뉴욕의 탈북자단체, 국무부 앞에서 탄원서 돌려
- 미국이 망명 신청한 탈북자 두 명 재판연기
- 러시아 미국 공관 진입 탈북자, 남한 행 결정
- 북 특전사 출신 탈북자, 미 망명 신청